격투가(여) 통합
![]() |
날짜 : 2014-10-22 03:36 | 조회 : 448 / 추천 : 5 |
---|---|---|
[그래플러] 안톤공략 - 검연
안톤던전의 공략 자체는 이미 던조 12시에 상세히 나와있지만
디바 관점에서 볼 수 있는 모든 던전이 정리된 공략글은 없기에 적어봅니다. 이 공략을 읽기전에 http://df.gamechosun.co.kr/info/anton/anton1.php http://bbs1.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638/read?articleId=7349655&objCate1=14&bbsId=G001&itemId=2230&pageIndex=1 선행해주셔야합니다. 일단 글로 정리 하고 영상은 차차 추가하겠습니다. 먼저 노블스카이 지역의 모든 던전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소모품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적힌 아이템들이 모든 상황에서 항상 필요한것은 아니나 다른캐릭들도 마찬가지지만 특히나 홀딩포지션에 있는 캐릭 특성상 돌발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모든 아이템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정신자극의 비약, 슈퍼아머 포션, 천상의hp포션, 반짝이는세계의 장난감, 고농축 생명력/힘의 비약 패리스, 코인, 크리쳐먹이, 마르바스 검은 연기의 근원 필수아이템 3종 속성 플라스크, 패리스 애끓는상하의, 서녘법석, 고대성전의기둥, 그 외 파티원에게 도움 되는 오라형식의 아이템 1번방 잡몹들이 있는 방입니다. 일반던전의 경우 따로따로 잡아서 네임드로 변신하지 않도록 하는게 중요하지만 레이드의 경우 몹들이 단단하고 냅두면 발광하는 몹 특성상 한곳에 모아서 죽이는게 좋습니다. 바로 타이푼도 좋고 자스후 넥스도 좋고 편한대로 하면 됩니다. 2번방 <개요> 토그는 아프다패턴전과 아프다 패턴 후로 나뉩니다. 아프다 패턴을 사용해야 해당 속성으로 제대로된 딜링을 할 수 있습니다. 아프다 패턴전에는 파티원이 제대로 다단히트를 할 수 있도록 홀딩을 해야하며 아프다 패턴후에는 회오리패턴 때 토그를 잘 굳힐 수 있도록 같이 다단히트를 해줘야합니다. 그리고 굳은 후에는 파티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아이템을 장비하고 있으면 좋습니다. <속변전> 토그는 200~300히트를 했을 때 아프다 패턴을 사용합니다. 그러니 파티원들이 충분한 히트수를 채울 때까지 토그가 발광을 하지 않도록 하는게 중요합니다. 토그의 돌진패턴과 파티원을 잡아서 던지는 패턴 그리고 피회복 패턴을 넥스/잡기로 캔슬해주시고 그 외에는 평타만 넣어주시면 됩니다. 여기서 주의할점은 속성변환 전에 회오리 패턴이 나왔을 때 격수들이 경직을 넣어서 굳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파티원중에 블팬/흡분같은 스킬을 사용 가능한 파티원이 있다면 굳은 상태를 풀 수 있지만 없다면 무속성인 토그를 방어무시데미지로만 죽여야합니다. 하지만 패리스가 있으면 저런 스킬이 없어도 굳은상태를 풀어줄 수 있으므로 패리스를 꼭 준비해야합니다. <속변후> 속변후에는 최대한 홀딩을 자제합니다. 토그가 피회복을 하는패턴과 돌진을 하는 패턴만 홀딩으로 끊어주고 회오리 패턴이 나오면 경직으로 굳혀서 카운터로 토그를 공격할 수 있도록 하는게 좋습니다. 이 때 파티원들의 다단히트가 부족할 수 있으니 평타/화염병/2종부메랑을 사용하면 더욱 좋습니다. 첫 아프다 패턴후 화속성일 때 토그를 처리하는것이 가장 좋으나 파티원이 경직을 너무 많이줘서 토그가 회오리패턴을 사용하지 못하고 다음 아프다 패턴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자주 있으니 샐래맨더/잭프로스트/알리시아 3종 플라스크는 필수로 가지고 있는것이 좋습니다. 만약 파티원들이 회오리 패턴을 사용하지 못하게 팬다거나 레이븐/블러디아라면 무한넥스 셋팅으로 무한홀딩을 하는것도 좋습니다. 데바리의 경우 추가데미지 크리티컬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16퍼센트 추뎀정도만 되어도 카운터 상태로 패는것보다 넥스 상태로 패는것이 더 좋은 딜링이 됩니다. 레이드의 경우 토그를 굳힌상태로 오랫동안 패야하는데 이 때 애끓는 세트,택틱컬세트같은 파티원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오라형 아이템을 착용하고 구경하면 좋습니다. 3번방 1번방과 동일합니다. 이방은 1번방과 달리 일반몹만 8마리 있으며 일반던전은 각개격파 해주는것이 좋고 레이드 던전은 몰아서 처리하는것이 좋습니다. 보스방 <개요> 보스방 진입하고 잠시 후 보스는 마법진 패턴을 사용하는데 정확히 20초마다 사용합니다. 마법진을 사용할 때 홀딩상태가 아니라면 보스가 무적이 되는데 보스가 무적이 되지 않도록 홀딩하는것과 파티원에게 순간이동을 하면서 도망다니는 패턴을 막아서 딜러들이 편하게 딜을 할 수 있도록 하는게 관건입니다. 구슬패턴을 시전하면 잠깐동안 무적이 되어 딜링을 할 수 없게 되지만 구슬을 먹으면 물리/마법공격력이 크게 상승하는 버프를 받으니 구슬패턴이 나오는걸 무서워 할 필요는 없습니다. 공략은 무한넥스 셋팅이 있을 때와 없을 때를 구분합니다. 무한넥스 셋팅이 있을 때 무한넥스 셋팅이 있을 때 가장 큰 장점은 넥스의 적 크리티컬저항력의 감소로 추가데미지 크리티컬 확률의 상승과 타점을 고정시켜 딜러들의 딜누수를 줄일 수 있는것입니다. 주의해야할 상황은 두가지입니다. 1. 파티원의 잡기스킬 혹은 EMP스톰같은 강제 경직스킬에 적이 홀딩에서 풀렸을 때 이 때 다시 넥스홀딩을 이어가는 방법은 세가지 입니다. 하나, 적이 다시 일어설 떄까지 기다려서 스탠딩 상태가 됬을 때 재빨리 넥스넵을 사용해서 홀딩을 지속한다 이 경우 기다리는동안 마법진을 사용하여 무적이 되거나 다른 패턴을 사용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두번째, 홀리가 승창으로 스탠딩 상태로 만들어서 넥스를 이어간다 가장 안전하고 좋습니다. 세번째 완벽하게 누운상태에서 토르베지노로 일으켜 세운 후 넥스를 이어간다. 이 경우 마법진을 안전하게 넘길 수 있는 스킬을 사용해야한다는것과 조금만 띄워진 상태여도 실패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관련 기술은 http://df.gamechosun.co.kr/board/view.php?bid=job4&num=894857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2. 네르베가 마법진 패턴을 사용했을 때 네르베의 마법진이 묻고 네르베와 부딪히면 폭발해서 주위 파티원까지 죽기 때문에 조심해야합니다. 2가지 경우로 대처방식을 나눌 수 있습니다. 1. 넥스를 쓰자마자 혹은 넥스를 사용하려고 할 때 마법진이 발동된 경우 이 경우는 마법진 밖으로 도망갔다가 마법진이 사라지면 다시 와서 넥스홀딩을 이어가면 됩니다. 2.넥스 쿨/지속이 애매해서 넥스를 치고 도망가려고 했다가는 마법진을 맞아버리는 타이밍일 때 2-1 토르베지노 무적으로 마법진을 버티고 넥스를 이어간다. 2-2 스파이어등의 잡기스킬로 마법진을 버틴후 승창으로 넥스를 이어간다. 2-3 점프로 피한다 무한넥스셋팅이 없을 때 무한넥스가 있으면 물론 좋지만 없다고 네르베 홀딩이 불가능한것은 아닙니다만은 그래도 역시 무한넥스셋팅에 밀리는건 어쩔 수 없는 부분입니다. 네르베는 중력보정을 잘 받는 보스가 아니라서 공중에 띄워놓고 잡으면 되는 보스입니다. 하지만 공중에 띄워진 상태에서 마법진이 발동된다면 네르베가 그대로 무적이 되서 딜링이 안되는 상태로 변하고 마법진이 끝나면 다른 패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이 때 중요한것은 네르베를 계속 잡고 있는것이 중요한것이 아니라 마법진을 사용할 때 무적이 되는것을 방지하는것이 중요합니다. 계속잡고있겠다고 이쪽 저쪽으로 끌고다니면서 연잡을 하면 옷깃잡기 효과는 잘 받겠지만 딜러들의 공격이 빗나가서 오히려 보스를 처리하는 속도가 늦어질 수 있습니다. 벽에서 연잡을 한다면 딜 누수를 줄일 수는 있겠지만 그래도 역시 딜누수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연잡도 좋지만 띄워서 공격을 할 수 있도록 보조를 하는 방식으로 가는게 좋습니다. 앞서 설명드렸지만 마법진은 20초마다 발동됩니다. 20초를 세는방법은 여러가지인데 옆에 스탑워치를 놓고 해도 되고 레이드의 경우 남은시간을 봐도 되고 쿨 10초 물약을 두번 마시는걸로 봐도 되고 슈퍼아머표선같은 지속시간 안에는 마실 수 없는 포션으로 남은 쿨타임 알림 시세템채팅을 이용해도 되고 편한대로 세면 됩니다. 18~9초일 때 로플링/수플렉스 싸이클론같이 오래 잡을 수 있는 스킬로 잡아두고 있으면 무적패턴이 나오지 않고 다시 띄우거나 잡기를 이어가서 네르베를 처리하면 됩니다. |


0

1,486,157
프로필 숨기기
신고
11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