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스트(남) 통합
![]() |
날짜 : 2018-03-19 02:09 | 조회 : 35938 / 추천 : 36 |
---|---|---|
[인파이터] 끄적여보는 인파이터 가이드 -스킬편-
간만에 이런 글 씁니다. 안녕하세요. 참깨빵 위에 순살고기 패티 얹은 특별한 소스 양상추 핀드인파 카인섭 Halfyear입니다.
이 글은 상당히 주관적일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생각보다 별로입니다. 이 글은 단순 참고용입니다. 이 글을 맹신해서는 안됩니다. 이 글을 읽다가 욕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읽다가 지루해질 수 있습니다.
스킬별로 주관적인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그.. 솔직히 사람마다 활용하는거라던가 플레이 스타일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의견도 댓글로 남겨주신다면 제가 유용하게 써먹겠습니다(?) - 제가 결투장은 자세히 알지 못하기에, 결투장 관련해서는 효율적인 정보를 얻기 힘드실겁니다. 애초에 이 글이 효율적인지도 모르겠습니다.
1편. 스킬별 설명
- 뒤로 뛴다.(
- 자세잡았을 뿐인데 무적이다.(
- '우왓' 소리를 낸다. 맞으면 정말로 아파보이는 스킬이다.
- 잔무적 스킬, 던전에서는 옛날 이계에서나 애용되던 스킬입니다. 영역을 확대한다면, 안톤 좀비방에서 유용하겠습니다. 그 외에는 솔직히 쓸만하다는 느낌은 없습니다.
- 결투장에서 사이드 와인드의 영원한 친구
- 투자하면 의외로 DPS가 높으나, 기본기라는 점과 만렙 기준으로는 스킬포인트의 부족으로 쳐다도 보지 않게됩니다. 솔직히 DPS 높다는 것도 쿨타임 마다 계속 써줘야 하는 것인지라 저거 쓸시간에 더킹시리즈 쓰는게 낫습니다.
- 결투장에선 정말 좋은 스킬인것 같습니다.
- 결투장 프리스트의 특권. 잔량을 회복하나, 때때로 기적을 만들어냅니다.
- 결투장에서 뛰우기 콤보로 애용, 던전에서는 제자리대시 후 이 스킬을 사용하면 모션 연계 때문에 제법 멋있습니다.
- 이건 나름대로 '스킬' 인지라, 장비에서 '스킬사용시' 옵션 발동이 가능합니다.
- 필자는 안톤 다닐때만 해도 잘 써먹던 스킬이었습니다. 인파로 투자해도 화상 치유는 됐었기 때문입니다. 그냥 넘기셔도 되겠지만, 정마반 쿨초용으로 하나정도는 투자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스킬포인트가...
- 지금은 전혀 활용하기 힘든 스킬이 되었지만, 패치 전에는 신기 마반 터뜨리는데 있어서 정말로 편한 스킬이었습니다. 쿨타임도 짧고, HP도 정말 조금 달았거든요.
- 지금은 위장자 친구들만을 위한 스킬이 되었습니다.
- 인파이터 그 자체
- 시전 시, 극히 짧은 시간 동안 무적상태가 됩니다. 판정이 너무 짧아서 제대로 느껴지지 않습니다.
- 더킹스웨이로 이동하는게 멋도 있고 빨라 보이지만, 공격속도와 이동속도가 빠른 편이시라면 대시공격(츄와~)으로 이동하시는게 좋습니다.
ㅡ 두 스킬은 더킹 시리즈의 스킬 말고도 몇몇 스킬들과 연계 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고저스, 헤븐리 사용 직후 후딜캔슬 시전이 가능하다던가
- 1정도 투자하시면 신기, 마반 터뜨리는 용도로 편리합니다. 10 ~ 20 정도를 투자하시면 안톤 ~ 루크 레이드의 잡몹 처리용도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한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이 스킬은 주먹데미지와 충격파 데미지가 나눠지는데, 충격파 데미지가 주먹 데미지 보다 높은 편입니다. 후술할 '쵸핑 해머' 처럼 주먹을 적중시켜야 충격파가 생성되는 구조가 아닌, 그냥 시전하자마자 충격파가 함께 생성됩니다. 언뜻 보면 "충격파 지분이 높더라도 주먹 맞췄는데 충격파가 안맞겠어?" 라고 생각하실 수 있으나, 충격파의 상단 판정이 상당히 부실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띄워진 몹이라면 주먹데미지만 들어간 채로 충격파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잡몹에게 사용시에는 쵸핑 해머 같은 몹을 띄우는 스킬로 선타를 잡으시기 보다는 그냥 몹을 캐치하는 중에 근처 잔량을 캐치하는 용도로 사용하시는게 가장 효율적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스킬은 통상적인 4인 구조의 파티에서는 그렇게 눈에 띌 만한 스킬은 아닙니다. 왠만한 직업들은 인파이터 보다 잡몹 정리가 훨씬 편리하고 빠르니까요. 쩔러분들에게 추천해드릴만한 스킬 되겠습니다.)
- 한때는 힘 1000(토템, 10렙 기준)을 올려주던 스킬 한때는 다른직업군이 전부 자버프 스증을 받을적에 유일하게 스탯만 오르던 저효율 스킬 한때는 인파이터를 '시너지 딜러' 로 취급당하게 했던 스킬 한때는 무기 타입별 성능이 달라 컨샙이 잘 잡혀졌던 스킬 장판 벗어나서 딜하면 '엌' 하던 스킬
- 현재는 크리티컬 데미지 증가 옵션이 달리며, 본인만 버프를 받는 버프스킬입니다. 토템 착용시 힘100 추가 증가 옵션이 있었지만, 적용이 안되더니 갑자기 누락시켜버리고 입을 닫아버리더군요.
- 지금은 깔아놓기만 하면 방 넘어갈때마다 저절로 깔아지며, 오라를 벗어나도 30초 정도는 유지 됩니다. 그리 긴 설명은 필요 없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Q : 아바타 상의 옵션으로 '데스블로우' 와 '윌 드라이버' 중 어느걸 고르는게 좋을까요? A : 데스블로우의 레벨당 상승폭이 조금 더 높습니다. 두 옵션 중 하나를 고민하신다면, 당연히 데스블로우를 추천해드립니다.
- 필자의 주관이지만, 전직업 통틀어서 이렇게 컨샙 맞고 다부진 성능의 기본기를 가진건 인파이터 뿐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컨샙 때문에 대인딜링 밖에 못함)
- 투자시에는 스킬 자체의 딜링은 생각보다 부족합니다. 다만, 이 더킹 시리즈를 뒷받침 하는 것이 '컴뱃 마스터리' 입니다. 마스터리 관련한 설명은 후술할 내용을 봐주세요.
- 세 스킬 중 더킹 바디블로는 역경직이 다소 심한 편입니다.
< 컨텐츠 별 활용 > 루크 레이드 : 더킹 바디블로의 스턴 옵션이 진가를 발휘합니다. 레드 크라운의 분신이 바디블로의 스턴에 걸리기 때문이죠. 인파이터가 루크 쩔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 외에도 레드 크라운 분신 보다는 확률이 낮지만 아이언 비스트도 스턴이 먹힙니다. ㄴ 이녀석도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그냥 바디블로 1렙 찍고 레드크라운을 가격하는게 아니라 스킬레벨을 최대한 올려두고, TP스킬인 더킹 강화를 전부 투자 하셔야 스턴의 확률과 지속 시간이 편리한 수준으로 맞춰집니다. 만렙 기준이라면, 이 바디블로를 위해 다른 스킬의 투자를 포기해야 한다는 것이죠. 고로 필자는 더킹 시리즈의 투자는 레크방 2인입장시의 상황인 쩔러 분들을 위해 추천해드립니다.
마수 던전 : 마수는 있는거 다 때려부어야 해서 얼마나 투자했던 작정하고 쓰게 됩니다.
- 이 스킬도 더킹 시리즈에는 들어갑니다. 그런데 레벨 제한 이라던가, TP라던가 더킹 시리즈와는 대놓고 차별점을 만들어 둔 것 같은 느낌이군요.
- 더킹 시리즈 중에서는 데미지가 가장 높습니다. 디바인 크러시 설명때와 마찬가지로, 주먹 데미지와 충격파 데미지가 나뉘는데 해당 스킬의 경우에는 주먹 데미지가 더 높습니다. 데미지 자체는 좋고 충격파가 인파이터 직업 치고는 준수하기에 잡몹 처리 용도라던가 네임드 몹 돌진 선타 잡는 용도로도 쓸만합니다. 그런데 또 주의사항이 있는데... 초핑 해머는 주먹이 몹에게 적중해야만 충격파가 발생합니다. 빗나가면 그냥 주먹돌진으로 밖에 안보이는 것이죠. 충격파 딜링이 엄청난 비중을 차지하는건 아니지만, 순수하게 주먹 모션 판정으로는 x축 판정이 길어진 더킹 스트레이트 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정말 의외지만 스웨이 캔슬 초핑이 충격파가 더 잘터지는 것 같네요...
- 투자하신다면, 잡몹 처리 스킬로써는 상당히 우수합니다.
- 데미지는 25제라 생각하실만한 데미지를 가졌습니다. 투자하실수록 시전속도가 증가하는 부가 옵션도 있습니다.
- 해당 스킬은 더킹 시리즈 대신 투자되는 스킬이기도 합니다. 애초에 더킹 3종류를 전부 투자하고 TP부여를 하는 것 보다 이거 하나 투자하시는게 더 편리합니다.
- 해당 스킬 사용 후에 더킹이나 스웨이로 후딜레이를 캔슬할 수 있습니다. 스킬 사용 후 곧 바로 더킹 시리즈로 공격을 이어낼 수 있다는 것이죠.
- 상당히 무난한 스킬이라 할 수 있습니다. 투자를 하셔도 좋고, 안하셔도 좋습니다. 필자의 경우에는 루크에서 바디블로를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루크를 제외한 모든 컨텐츠에서 해당 스킬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마수에서도 딜 지분이 제법 나오는 스킬입니다.
- 15~30레벨 구간 스킬에 추가 기능과 더불어 활용도를 넓혀줍니다.
해당 스킬로 얻는 것 보다 해당 스킬을 투자하지 않을 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써드리겠습니다.
- 평타가 심각하게 짧아짐 - 더킹 시리즈는 '더킹으로만' 사용해야함. - 초핑 해머는 '스웨이로만' 사용해야함. - 머신건 잽이나 게틀링 펀치로 '몹을당길 수 없음' - 홀리 카운터가 홀리 귀문반으로 변함.
저레벨 라인 부터 투자하는 패시브인지라, 설명을 안보시는 분들이 많으신걸로 알고있습니다. 인파이터에게 상당히 유용한 패시브 스킬이기 때문에 알아가시면 좋겠습니다.
- 더킹 시리즈가 1만 찍어도 잡몹 하나 잡을 데미지가 나오는 이유
- 고저스와 더킹 시리즈가 왠만해선 무조건 크리티컬이 나오는 이유
ㅡ 고저스와 더킹 시리즈가 '캔슬되지 않는 이유'
- 고저스 컴비네이션과 더킹 시리즈에 '슈퍼 아머' 판정이 생기며, 해당 스킬의 크리티컬 확률과 추가타가 생성됩니다. 추가타의 경우엔 컴뱃 마스터리의 스킬 레벨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저스나 더킹 시리즈를 1만 투자하셔도 패시브로 인해 생겨나는 추가타의 데미지가 있기 때문에 정말 의외의 딜링이 나오게 해줍니다. 여담으로, 더킹 바디블로는 1투자 기준으로는 추가타가 본래 데미지 보다 높습니다.
- 크리티컬 확률 증가 옵션이 있는데 그것 보다도 더 눈에 가는건 '스킬 채널링 시 회피율 증가' 입니다. 더킹 시리즈의 경우에는 최대 80% 까지 증가하며, 걸쭉한 무큐기의 경우에도 40~60% 선을 유지합니다. 이게 별 체감이 없다고 생각 하실 수 있으시겠지만, 몹들과 맞딜을 벌일 경우에 한번씩 보시게 되는 스턱 판정이 이 패시브의 증거입니다. 후반부 컨텐츠일수록, 퀵 패리로 인해 죽음의 순간을 몇 번이나 넘길 수 있습니다.
< 컨텐츠 별 활용 > 안톤 & 루크 레이드 : 몹 패턴 순간 회피
마수던전 : 끈질기게 붙어서 스킬만 사용하더라도, 다른 직업군 보다 오래 살아남음.
- 결투장에서는 스매셔의 베스트 프렌드
- 추가타로 몹을 끌어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끌어올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빈도가 꽤나 많은 편입니다. 잡몹 당기는 것 부터 좀비 드리블, 슈아없는 상태의 보스 당기기 까지
- 투자할수록 길이가 길어지는데.. 어차피 던전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1정도 추천해드립니다.
- 상당한 연타력을 가진 머신건 잽은 30제 치고 준수한 DPS와 경직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첫타 ~ 막타(추가타) 까지 전부 맞추는데 걸리는 시간은 애매한 편인지라 보통은 연타부분만 전부 쳐내는걸 기본 콤보로 삼습니다.
- 테크니컬 마스터리의 효과로 인해 머신건 잽의 최대 성능인 '끌어당기기' 가 관건인데요. 바닥에 박혀있는 몹이나 오브젝트가 아닌 이상 모든걸 끌어당긴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끌어 당기는 힘 자체는 약한 편이기에 다른 직업군과 끌당 시합을 벌일 경우엔 무조건 적으로 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몹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일시에는 거의 안끌려집니다.
< 컨텐츠 별 활용 > 안톤 : 좀비 끌어당기기 루크 : 루크 껍질 브레이킹 마수 : 죽도록 패기
- 궁극의 이동기, 테크니컬 마스터리의 영향으로 수동 발동이 가능합니다.
- 해당 스킬의 돌진 모션은 바디블로로 전진 하는 모션입니다. 특이하게도 돌진 바디블로의 데미지는 더킹 바디블로의 데미지와 공유합니다.(TP효과 까지는 받지 않습니다)
- 고정데미지->퍼센트 데미지로 바뀐 뒤로는 너무 낮은 계수와 DPS로 인해 투자효율이 급저하 된 스킬이 되었습니다. 유일한 장점이라고 한다면, 자동으로 몹을 따라가기 때문에 무적 식별 용도로 쓸만하는 것입니다.
Q : 잡몹 처리용도로는 좋지 않을까요? A : 말씀드렸듯이, 계수가 너무 낮기 때문에 오히려 달려가서 평타를 쳐주는게 더 시원할겁니다. 더 큰 이유로는 회오리의 이동속도가 너무 느립니다.
- 또한 너무 불칠절한 TP 투자가 눈에 띄는데요. 심판의 회오리의 TP를 1레벨 투자할때마다 회오리가 2개 생성될 확률이 20%씩 증가합니다. 전부 투자해주면 확정적으로 2배의 데미지가 들어가서 좋은게 아니냐고 하시겠지만, 루크 까지는 순딜 메타입니다. 계수 낮은 회오리 2개가 얼쩡거려봤자 헤븐리 한 번 써주시는게 더 많이 들어갑니다. 차라리 고저스나 헤븐리에 투자하시는게 훨씬 유용하다는 것이죠.
Q : 그럼 마수에서는 어떨까요? A : 회오리가 히에로와 앤 날뛰는걸 따라잡을 수 있을까요? 회오리의 딜링이 강력한것도 아닌데 말이죠. 실제로도 회오리를 투자하여 깔아두기 플레이를 해보니, 회오리는 1레벨 투자한 더킹 바디블로도 못이겼었습니다. 도리어 그날 딜지분이 200~300억이나 떨어져서 파티원분들께 상당히 죄송했었습니다..
결국 필자가 생각하는 심회의 유일한 활용점이란, 1레벨만 투자해두고 무적 패턴이 많은 네임드나 보스몹 앞에서 깔아두어 무적 판별용으로 사용하는것 뿐이겠습니다.
- 인파이터의 꽃입니다.
- 여러모로 골때리던 스킬이었지만, 지금은 다른 버프스킬과 똑같이 지속시간도 무제한이고 쿨타임도 짧은 평범한 버프 스킬입니다. 하지만 다른 직업과는 차이점이 있는데, 오브젝트가 딜을 넣는 구조라는 겁니다. 그래서 인파이터 본체가 공격을 가하면 뒤에 있는 분신이 차례로 공격을 하게 되는데 판정이 너무 짧아질 경우엔 분신이 데미지를 가하지 못합니다. 본체 보다 한 박자 늦은 판정이 들어간다는 것이죠.
- 스위칭 크로니클은 총 9세트이며, 9세트의 특성상 풀레벨링에 필요한 금액이 많이 드는 편입니다. 추천해드리는 크로니클은 언리미티드 어빌리티 세트. (9셋+20레벨 세팅 시 최대 75%) 반투의 유산과 헬로 브라운을 이용하면 균차 옵션으로 최대 2%를 더 챙길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77.5%~78% 까지 늘어날 수 있죠. 하지만 78%대를 보기 위해선 마법의 대격변 이라는 85제 에픽 방어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정확한 수치인지는 제대로 가늠이 안되네요. 죄송합니다.
Q : 스톤 피스트 듀란 세트는 어떤가요?
A : 스톤 피스트 듀란 세트는 분신의 개수가 1개 더 생기는데요. 해당 크로니클로 스위칭 할 시에 타격감으로 얻는 쾌감이 상당합니다. 하지만 딜에서 언리보다 5% 정도 밀린다는 단점이 있는데, 아무리 추가데미지를 기대하고 사용한다 한들 평균 데미지가 낮아지기 때문에 결국에는 조삼모사 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유일하게 상향만 받아온 스킬로, 심판의 회오리의 데미지 공식 변경 이후로는 대부분의 유저분들이 이 스킬로 갈아타셨을겁니다.
- 고저스 컴비네이션 처럼 후딜레이를 더킹이나 스웨이로 캔슬할 수 있습니다. 같은 컴비네이션 스킬이라 그런지 고저스와 비슷한 느낌이 있습니다. 한 가지 다른 점은 여러 번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역경직이 걸리적거린다는 것인데, 잘 조율해서 사용하신다면 크게 문제 될 건 없으실겁니다.
- 40제 치고는 인파이터의 스킬중에서 지분이 높은 편입니다. 후술할 데몰리션 펀치와 비슷한 DPS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 길지 않은 쿨타임에 비해 준수한 데미지가 박히기 때문입니다. 해당스킬은 주력 딜링 스킬들이 다 빠지고서 현탐 커버용으로도 유용합니다.
- 노전직 각성기라 불리는 45제 스킬이자, 인파이터의 딜지분 3위에 이르는 메인 스킬 중 하나입니다. 총 합 계수가 상당히 높은 편인데다가 C(캔슬) 버튼으로 연타 중 바로 막타로 끊을 수도 있습니다.
- 연타스킬 치고는 크게 불편한 사항이 없습니다. 하지만 인파이터 라는 직업이 채널링에 목맨다는걸 증명하는 스킬이기도 하죠. 풀 슈퍼아머 스킬이지만, 슈퍼아머를 무시하는 패턴이라도 맞았다가는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퀵 패리의 옵션에도 허리케인 롤이 들어가 있지만 회피율이 더킹 시리즈 만큼 올라가는 편이 아니기에 네임드급 이상의 몬스터와 맞딜을 벌일 경우엔 포션 하나정도는 챙기셔야겠습니다.
- 저번 밸패 이후로 강제경직 판정이 사라지고, 진정한 1차 각성기로 자리잡은 스킬입니다. 딜링 구조가 조금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해당 스킬은 총 4회의 공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타를 제외한 2타 3타 4타(막타) 는 반드시 적중시켜야 딜로스가 거의 없다는 것이죠. 그런데 1타도 1만%가 넘는 데미지를 가졌기 때문에 흘린다고 좋아할 순 없습니다. 하지만 몹이 패턴같은걸로 도망치지 않는이상, 반드시 다 맞춘다고 보시면 됩니다.
- 스킬 9렙 기준으로 시전 시 무적상태이며, 4타(막타)를 충전(대기)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충전한다고 해서 데미지가 강해지는건 절대로 아닙니다. 늦춰서 사용할 뿐입니다.
- 인파이터의 딜지분 2위를 달리는 강력한 스킬입니다.
Q : 빅뱅은 15레벨때, 9레벨 옵션인 '섀도우 박서 사용시 데미지 증가' 옵션이 1.1배에서 1.2배 로 오른다고 들었는데요. 15레벨링이 반필수가 되는걸까요? A : 15레벨에 껑충 뛰는 사항은 9레벨 이후 1레벨이 증가할 때마다 0.02%씩 추가되는걸로 바뀌었습니다. 15레벨 달성시에 1.2배가 되는건 유사하나, 한번에 오르는 형식이 아니게 되었다는 것이죠. 오히려 이게 정상인 겁니다. 레벨링에 목숨거실 필요는 없습니다.
- 드라이아웃의 공격력 증가 옵션은 상시 적용입니다!! - 캔슬 1회는 덤으로 주는 옵션입니다. 그 시절 드라이와는 전혀 다른 스킬이 되었습니다!
- 1회 캔슬이 발목을 잡기도 합니다. 타 직업 처럼 연달아서 캔슬을 할 수 있는게 아닌, 묵직한 방을 제한적으로 이어가게 하는 것이죠. 각성기와 핵펀치를 제외한 신격계의 모든 스킬을 드라이아웃으로 캔슬시킬 수 있습니다. 드라이아웃의 캔슬 빌드는 본인 스스로 개발하시는게 좋습니다.
- 머잽의 강화판입니다. 마지막 타격에는 충격파가 붙는데, 적중해야만 충격파가 생깁니다.
- DPS는 의외로 헤븐리 보다 밀립니다. 쿨타임에 비해 공격 가속도나 딜링이 높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스킬을 투자하지 않거나, 1레벨 정도만 투자해서 막타 끊기로 잡몹 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게틀링 펀치의 투자에 대해서는 있는 그대로를 사용하는 마수 던전이 아닌 이상, 본인의 입맛에 맞게 고르시면 되겠습니다. 마수 이하의 던전에서는 이거 쓸 시간에 파티원이 잡거나 다른 스킬로 해결하기 때문입니다.
- 바디블로의 최종강화형으로 추정됩니다.
- 생긴건 충격파가 강해보이는데 주먹데미지가 메인입니다. 주먹을 꼽고서 약간의 딜레이 후 충격파가 발생합니다.
- 이상하게 전체 데미지 면에서 게틀링이나 데몰리션이 약한 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유연함에 있어서는 남다른 점이 있는데요. 더킹이나 스웨이 발동 중 사용이 가능하며, 발동속도가 엄청나게 빠르기 때문에 데미지 보다도 빠른 모션과 드라이 연계로 애용된다는 점입니다. 정말로 아토믹 -> 데몰리션을 사용해보시면 한 1초동안 박진감이 넘칩니다.
- 파괴왕 휴톤의 스킬입니다.
- 간지에 비해 엄청나게 불편한 스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답답한 선딜레이와 더러운 판정이 상당히 골때립니다. 데미지는 아무래도 한방형이기 때문에 허리케인 롤 보다 조금 낮습니다.(총 데미지 기준)
- 주먹 판정이 적중되지 않으면 충격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원래는 드라이가 가능했던 스킬로, 핵 펀치->아토믹 사용이라는 무지막지한 콤보가 가능했으나, 핵 펀치를 드라이할시 데미지가 누락되는 버그가 종종 생겨 네오플에서는 아예 핵 펀치의 드라이를 막아버렸습니다.
- 쿨타임이 빠른 편입니다.
- 인파는 절대로 스턱이 날 수 없다는걸 못박는 스킬입니다.
- 일반적인 2각패들이 그렇듯 떡스증이 메인입니다. 아바타 상의 옵션 또한 신의 분노와 함께 선택지 1위 스킬이기도 합니다.
- 해당 스킬은 '저지먼트' 라는 패시브가 있을 때만 해도 80제 스킬로, 레벨링당 3%의 스킬데미지가 증가했었습니다. 이후엔 75제로 바뀌고 수치 조정이 되었지만요.
아토믹 쵸퍼 ( - 더킹 스웨이로 시전이 가능한 스킬 중 가장 강력한 스킬입니다.
- 옆동네 아토믹 보다 묵직한 이펙트를 자랑합니다. 데미지 지분은 총 2회, 선발 타격 보다 후속 타격의 지분이 훨씬 높은 편입니다. 핵 펀치와 정 반대의 구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데몰리션 펀치와 더불어 엄청난 공격속도를 자랑합니다. 더킹이나 스웨이로 활용할시엔 체감 속도가 더욱 증폭됩니다. 처음 업데이트 되었을때는 "이게 정말 인파스킬이야?" 라고 생각했었죠.
- 딜 지분은 핵 펀치와 우위를 겨룹니다. 일단은 75제인 핵펀치가 레벨링 때문에 근소하게 높은 편입니다. 그래도 인파이터의 무큐기 3신기라고 한다면 허롤, 아토믹, 핵펀치로 항상 거론됩니다.
- 하..
- 연타지분과 폭발지분으로 나뉩니다. 각각 6:4 정도 되겠습니다.
- 인식 범위가 너무 넓은 탓에 원하지 않는걸 추격하기도 합니다. 세븐스 플로우는 방향이라도 바꿀 수 있는데...
- 그래도 채널링과 불친절한 딜구조상, 풀히트를 낸다면 진정한 각성기가 무엇인지 보여줄 정도로 데미지가 엄청나게 높습니다. 사실 시전 중 무적인지라 시전해놓고 잠시 쉴 수 있는 휴게소 같은 스킬입니다.
- 타 스킬 드라이 후 사용할시, 선딜레이(똥폼)를 생략하고 연타를 시작합니다.
- 데스블로우와 더불어서 아바타 상의 옵션 선택 순위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아무리 불편하고 제한적이라 해도, 데미지 하나는 일품이기 때문입니다.
- 의외로 안톤에서 잘써먹을 수 있습니다. 아그네스 방 분신이라던가, 에너지 차단전의 잡몹방 등등 생각 의외로 써먹을 구간이 많습니다.
예, 뻘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 스크롤 쭉 내리신거 알고있습니다. 원하는 스킬만 한번 보셔서 이 사람은 이렇게 생각하는구나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눌러주신 것 자체로도 영광이었습니다.
질문이나 기타 의견 등은 전부 댓글로 작성해주시면 수정하거나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일단 제가 아는건 다 적은거인지라.. 주관적인 것도 있고, 입문 유저분들이 조금이라도 스킬 이해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했습니다.
2018-03-25 추가)
이게 왜 오던이야
이 글이 생각보다 우수하데 감사합니다
2018-03-25 새벽 3시에 또 추가)
03:24분, 조회수가 폭발적으로 상승하는것을 본 하프이어
(끄적여보는 인파이터 가이드 - 구간별 장비 세팅 1편 - ) http://df.gamechosun.co.kr/board/view.php?bid=job9_2&num=3053449&cate=1
|


116

136,147
프로필 숨기기
신고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