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스트(남) 통합
![]() |
날짜 : 2015-04-28 12:02 | 조회 : 19354 / 추천 : 26 |
---|---|---|
[크루세이더] 홀리 레이드 공략안녕하세요. 카인에 서식중인 이걸끓피가? 입니다. 필자 스펙... ![]() 레이드 패치가 된 이후에 레이드 공략글이 거의 없어서 미흡하게나마 정리해봤습니다. 추가사항 있으시면 댓글로 달아주시길 바랍니다.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글을 쓰기전에 먼저... ※ 이 글은 홀리가 레이드에서 무엇을 해야하는가 에 초점이 맞춰진 글입니다. 레이드의 기본 패턴을 알고싶으시다면 다른 글을 참고해주세요. 참고링크 - http://df.gamechosun.co.kr/board/view.php?bid=job9&num=860253&cate=2&col=subject&kw=%EA%B3%B5%EB%9E%B5 ※ 일단 기본적으로 레이드를 시작하기전에 연기/다리의 토그 속성구슬/네르베 빛이 있으라, 넨가드/크레이브 좀비의 위치를 정해두시는것이 좋습니다. 상기한 패턴 모두 1/5/7/11시에서 나오기 때문에 하나 정해두시면 계속 맞춰두신대로 하실 수 있습니다. 네르베 빛이 있으라 패턴은 1/5/7/11 이후에 시계방향으로 3/6/9/12시로 가시면 됩니다. ※너무 당연하다고 생각되는 패턴이나, 일톤과 다를게 없는 패턴은 따로 적지 않았습니다. ※예전 무홀같은경우에는 패턴을 몰라도 괜찮았으나, 현재 무홀이 막힌 이후로는 홀리도 왠만큼 딜이 나오는 파티가 아닌 이상에야 패턴을 익히셔야합니다. ※레이드에서 자신/파티원이 죽으면 가장먼저 멜로디와 보징을 써줍시다. 1. 검은 연기의 근원 ★토그 토그는 두가지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회오리와 속성구슬. 일단 기본적으로 속성구슬 같은 경우에는 딜러 속성에 맞춰서 넣으면 되는것이기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유피테르나 홀리 생츄어리를 쓰다가 깨먹는 일만 조심하시면 됩니다. 회오리 패턴 같은경우에는 개인 재량껏 피하...는게 아니라 왠만하면 12시/6시로 2명씩 나뉘어서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이 경우가 아니더라도 피하실수 있으면 흘려들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토그를 잘잡는-대개 소울이 포함된-파티가 아닌 경우에는 대개 토그가 진보스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때문에 첫 딜타임에 바로 아포를 써주는 것이 좋습니다. Tip - 토그에서 숙련도가 좀 쌓이셨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토템/참회의 망치 스위칭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파티원들이 패턴에 익숙하고 잘 죽을일이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토템 스위칭을, 그게 아니라면 망치 스위칭을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왠만하면 망치 다 주세요 TP까지, 쓸곳 많습니다(네르베 빼고...) 그리고 홀리도 속성구슬을 깰 수 있습니다. 망치 만렙기준, 크로스 크래쉬를 쓰시는분이면 크로스 크래쉬+참회의 망치면 부술 수 있으며, 크로스 크래쉬를 안찍으신 분들은 디바인 플래쉬를 활용하시면 부수실 수 있습니다. ★네르베 네르베도 두가지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장판 패턴과 빛이 있으라 장판 패턴 같은 경우에는 홀리의 경우 접근만 안하시면 됩니다. 이 주제는 이 공략 전문의 핵심에 근접한 내용이며, 홀리는 메델을 제외한 레이드에 존재하는 그 어떤 몹이라도 근접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입장 선홀시 단 한번, 참회의 망치를 써주시면 됩니다. 이제 주의해야 할건 빛이 있으라, 뭐 따지고보면 모든 레이드몹 공략의 핵심이 되는 말이기도 합니다. 바로 몹의 체력을 채워주지 않는것 인데, 가장 중요한건 참회의 망치를 쓰지 않는것 입니다. 위에서 참회의 망치 앞에 단 한번이라는 수식어를 붙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네르베가 참회에 걸리면 빛이 있으라 패턴때 구슬을 파티원들이 먹을수가 없습니다. 참회 지속시간동안은 네르베도 구슬을 먹어도 체력이 차지 않으나... 대개의 경우 참회 지속시간이 끝나면 구슬이 네르베 코앞에 있는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그냥 참회의 망치를 쓰지 않는것이 속 편합니다. 아포는 토그때 쓰셨다면 쿨 돌아오시면 써주시면 됩니다. 만약 토그에 아포를 쓰지않고 넘어오셨다면, 선홀딩 타이밍때 써주시면 됩니다. 참고영상1(토그에 참회 스위칭)/예전에 찍은거라 화질구지...https://www.youtube.com/embed/Zterwxen7jU?feature=player_detailpage" target=_blank allowfullscreen="" frameborder="0">" target="_blank"> 참고영상2(토그에 토템 스위칭)/커뮤니케이션이 꼬여서 속성구슬 2번본건 애교로... https://www.youtube.com/embed/dEhfrhZFcyE?feature=player_detailpage" target=_blank allowfullscreen="" frameborder="0">" target="_blank"> 2. 흔들리는 격전지 격전지는 일톤과 크게 다를바가 없습니다. 일톤 패턴을 완벽하게 숙지하셨다면, 홀리가 할 일은 크게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참회의 망치만 쿨마다 써주시면 홀리가 할일은 끝입니다. 3. 함포 방어전 여기도 뭐... 수호병 타이밍이 50초간격으로 나오는것만 알고 그에맞춰서 아포만 써주시면 됩니다. 단, 참회의 망치, 멜로디는 쓰시면 안됩니다. 무큐기니까 잘 모르겠으면 하나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함포 2번방 들어갈때 타이머 켜자 4. 견고한 다리 저지의 꽃이자 핵심, 다리입니다. ★염화의 크레이브 좀비방입니다. 여기서는 한가지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딜타임이 되었을때, 응원하지말고 딜러 근처에 접근한 좀비들부터 차례대로 눕혀줍시다. 딜러가 신경쓰고 무빙하는데에도 딜로스가 나기 마련인지라, 이런부분은 홀리와 홀딩이 알아서 대처해주는것이 좋습니다. 특히나 딜러가 스커일 경우에는 더욱 더 중요합니다. 좀비를 안눕히면 라댄딜이 절반으로 뚝 떨어지는 광경을 감상가능(... 그리고 왠만하면 크레이브방에서 아포를 써주면 좋습니다. 정말 빠르게 진행하는것이 아니라면 보통 보스방에서 돌아옵니다. Tip - 좀비를 눕힐때 무작정 공참타를 쓰는게 아니라, 좀비 물기패턴을 한번 보고 쓰시는것이 좋습니다. 좀비가 무는 모션을 취할땐 슈퍼아머 판정인지라 맞아도 눕지 않습니다. 에게느 헛잡 비비기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참회를 활용해서 좀비가 크레이브를 깨물면 크레이브 즉사합니다. 크레이브에게 참망을 치는지, 좀비에게 참망을 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한번도 해보지않아서... 그냥 이런게 있다. 정도로만 알아두시길. ★수문장 크라텍 발광의 크라텍입니다. 크라텍에서는 3개 정도 기억하시면 됩니다. 피구슬 피하기, 딜러에게 접근하지않기, 감전패턴시 가장 멀리 떨어진 구석으로 가기 일단 피구슬 피하기는 딜러에게 접근하지 않기랑 묶인 개념입니다. 피구슬을 딜러가 딜하기 편하게, 크라텍 주변으로 떨구지 말고 구석에다가 흘립시다. 감전 패턴시에 가장 멀리 떨어진 구석으로 가는것도, 아까 위에서 말했듯이 레이드의 핵심은 딜타임에 확실하게 딜을 하면서 몹의 체력을 채워주지 않는것이기 때문에. 신경을 좀 써주셔야합니다. ※가끔 레이드에선 크라텍분신에서 구슬이 나오는경우도 있기때문에, 이 경우에는 홀리가 빨리 캐치해서 딜러에게 말해주는 수 밖엔 없습니다. 만약, 크레이브방에서 아포를 쓰지 않고 넘어오셨다면, 첫 딜탐에 아포받고 잡을 화력이 나오는 파티에 한해서 아포를 쓰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적어도 아그네스는 패턴숙지만 한다면 오래걸린다 뿐이지 어려운 보스는 아니니까요. Tip - 크라텍에서 참망 스위칭이 있다면 매우 큰 도움이 됩니다. 있으신분들은 필히 준비해가셔서 홀딩이 될 때 참망으로 가격해주시면 됩니다. 크라텍이 참회에 걸리면 피구슬 기둥의 데미지를 받지 않으며, 선홀딩 한정으로 참회가 걸리면 감전패턴을 스킵합니다. 다만, 정확히 원리는 모르겠으나 위에 크라텍 분신에서 구슬이 나오는경우도 참회랑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파악되는대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찬란한 불꽃의 아그네스 아그네스에서는 일단 기본적으로 기억해야할건 2개입니다만, 보통 아그네스에서 페이즈가 길어지기 마련이라, 유사시 대처법도 같이 익히면 좋습니다. 요정 패턴때는 크게 할건 없습니다. 스매셔나 홀딩이 토네일경우 자이언트스윙 이후 승창을 꼽아주시면 좋긴하지만 굳이 안하셔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아군에 소울이 있다면 참망은 쓰시면 안됩니다. 잠식때 참망이 걸려있으면 다람쥐가 아군이 되는 기적의 패턴을 경험하실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기억해야할 부분은 ☆다람쥐☆관리(중요하니 별표2개 밑줄쫙 했습니다)와 아포칼립스 입니다. 다람쥐 관리는 일톤이랑 마찬가지이므로 크게 언급하지 않겠습니다.(물론 언급 안한다고해서 안중요하다는게 아닙니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레이드의 핵심은 몹 체력을 회복시키지 않는것입니다.) 아그네스 눈체크는 홀딩이나 딜러분에게 신경써달라고 말씀해주시고 바로 발걸음을 다람쥐쪽으로 향하시면 됩니다. 만약 선홀딩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아포칼립스만 갈기고 냅다 달리시면 됩니다. 아포칼립스, 중요합니다. 적어도 아그네스 공략엔 이 아포칼립스가 정말 중요합니다. 물론 이기십자가 해방을 터뜨린 상태라면 상관이 없지만(... 그게 아니라면 반사패턴때 아포칼립스 레이저에 파티원이 몰살을 당할수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왠만하면, 아그네스 선홀딩이 안되는 상황일 경우, 원킬이 나오지 않는 이상 아포칼립스를 아껴서 다음 딜타임때 눈 뜨자마자 바로 써주는것이 좋습니다. 늦으면 다죽습니다. 바로입니다 바로 그리고 아포칼립스의 레이저를 피할수 없다 싶을때엔 파티원들과 다 같이 바닥으로 내려오시면 됩니다. 아그네스도 순간이동으로 바로 뒤따라 올겁니다. 그리고 다음은 유사시 대처법입니다. 함포에서 돌이 떨어진다→파티원의 멜로디/보징+홀리생츄어리를 항상 신경쓰면서 다람쥐 관리를 해주도록 합니다. 이게 힘드시면 파티원에게 딜보다 다람쥐를 좀 더 우선시 해달라고 부탁하시면 됩니다. 큭큭...강타가 없으면 정글러를 죽인다 연기가 샌다→ 새는걸 확인함과 동시에 바로 다람쥐부터 정리하고 오른쪽에 붙어서 딜 하시면 됩니다. 연기가 맵을 뒤덮으면... 어쩔수 없습니다. 다람쥐 관리가 안되는 상황이라... ※사실 연기가 샐거같으면 입장을 안하는게 가장 좋습니다만, 어쩔수없는 상황으로 급히 입장해야되거나, 페이즈가 길어질 경우에는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참고영상1(크라텍에서 참망 스위칭을 하는 경우/크레이브에서 아포를 쓰진 않았으나, 크레이브에서 아포쓰는 파티는 이 영상을 참고하시면 됩니다)화질구지 양해좀. 꺠알같이 포션안빨다 크라텍에서 죽은건 덤 https://www.youtube.com/embed/8RYLRePEScA?feature=player_detailpage" target=_blank allowfullscreen="" frameborder="0">" target="_blank"> 참고영상2(크라텍에서 그냥 아포로 바로 넘어가는 경우) 5. 에너지 차단 여기서부터는 토벌입니다. ★흡수의 에게느 에게느는...뭐 워낙 쉬운지라, 굳이 말하자면 아포칼립스 타이밍정도가 중요하겠네요. 일단 기본적으로 눈 크게 떴을때 눈싸움 안하시면 되고, 아포칼립스를 처음 헛잡때 쓰는것이 아닌, 헛잡 후 박치기 타이밍때 써주도록 합시다. ※다만, 홀딩이 마도학자라면 고민하지말고 헛잡때 써주시면 됩니다. 플컬로 딜타임을 늘릴 수 있으니까요. 참고영상(이영상도 사랑의 시나리오가 바로 이어져서 음소거행) ★부화장 부화장은 1,2,3,4 순서대로 1시,5시,7시,11시에 존재하며, 각각 풍(용암괴충),토(멜타도록),금(분쇄의 아톨),혈(공포의 사념체)가 나옵니다. 괴충, 멜타도록, 공포의 사념체는 일톤과 패턴이 똑같습니다. 그으대로 해주시면 됩니다. 레이드와서 패턴이 달라지는건 분쇄의 아톨인데, 아톨은 보통(공대장이 생각이 있다면) 토네나 괴충마도, 런처류의 이동스킬을 가진 캐릭터가 있는 파티가 가게 됩니다. 이 때, 토네가 파티에 있다면, 던전에 입장하기 전에 1p자리를 토네에게 양보하도록 합시다. 자세한건 영상으로 봅시다. https://www.youtube.com/embed/gzvQHwDX8NQ?feature=player_detailpage" target=_blank allowfullscreen="" frameborder="0">" target="_blank">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감염된 부화장에 나오는 쿠로와 로크는 크게 신경쓰실것 없습니다. 레이드가 일톤보다 약한 기적의 케이스라(... 다만, 홀딩이 몰이기술이 없을 경우 스매셔를 이용해서 한곳에 몰아주신다던지, 참회의 망치를 지속적으로 써주시는것 정도만 하시면 됩니다. 6. 검은 화산 드디어 마지막입니다. 다리가 저지의 꽃이라면 토벌의 꽃은 화산이죠. 입장하기에 앞서 부화장 패턴부터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부화장패턴은 총 풍(1부화장),토(2부화장),금(3부화장),혈(4부화장), 총 4개의 패턴이 있습니다. 풍 패턴은 용암괴충이 나와서 괴충 알을 토하고 사라집니다. 그냥 그거 죽이시면 끝입니다. 토 패턴은 멜타도록이 나와서 바닥을 한번 칩니다. 그냥 맞을시 반피정도 사라지니 왠만하면 안맞는것이 좋습니다. 금 패턴은 분쇄의 아톨이 나와서 넨가드를 생성합니다. 넨가드가 생성되면 폭발하며 넨가드 밖의 캐릭터는 즉사합니다. 넨가드는 캐릭터의 기술에 쉽게 박살이 나며 화산 가실때 가장 주의해야하는 패턴이기도 합니다. 혈 패턴은 공포의 사념체가 나와서 플루의 외침을 시전합니다. 크게 신경쓰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Insert 키를 누르면 나오는 상황창에서 패턴발생까지 몇초가 남았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흑연의 크레스 특별히 주의하실건 없습니다. 참망 계속 써주시면 됩니다. 아군의 딜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여기서 아포칼립스를 써주시면 됩니다. ★마그토늄 파이브 위와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잠식에 참망을 쓰면 마그토늄의 핵이 아군이 되는 기이한 광경을 목도할수 있으므로 조심하시길. ★심연의 메델 사실상 마테카가 버그만 일어나지 않는다면 화산의 진보스는 메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메델에서 홀리가 주의해야할 부분은 두가지입니다. 첫번째는 홀리는 항상 메델이 밟는 발판을 신경 써주셔야합니다. 메델은 메델이 밟고있는 발판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딜이 들어가질 않습니다. 물론 홀딩도 안들어갑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파티원의 체력관리입니다. 메델의 체력수정 패턴은 아군의 피가 많으면 많을수록 남는 체력이 적어집니다. ※예시를 들자면 패턴 전의 아군 체력이 90%가 있으면 패턴이 끝나면 10%만 남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옆에 수정들을 먹지말고, 홀리 생츄어리도 패턴이 끝나고 써주셔야합니다. 아포칼립스는 보통 메델에서 씁니다. 화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되어서 크레스에서 쓰고 온 파티라도, 왠만하면 아포쿨을 기다려서 가도록 합시다. ★전능의 마테카 마테카는 보통 혈ㅡ>토ㅡ>풍,금 순으로 처리하는게 보통입니다. 혈에서는 크게 할거 없긴한데, 구슬 옮겨서 1초에 터뜨릴때 미리 사념체 밑에 홀리 생츄어리를 깔아두시는것이 좋습니다. 이거만 하시면 뭐 다른건 크게 신경쓰실것 없습니다. 불붙이는 패턴은 일톤이랑 동일합니다. 토에서도 마찬가지로 크게 할거 없긴한데 최대한 멜타도록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합시다. 괜히 멜타도록 주변에서 얼쩡대다가 셀이랑 눈싸움하는 경우가 없도록 합시다. 금도 마찬가지로, 원 안에서 참망만 써주시면 됩니다. 풍은 걍 주무시면됩니다. 보통 2페때 아포를 쓰게되며, 파티에 무적버프를 걸거나, 신의 가호를 복용하는것이 보통입니다만, 아닐 경우를 대비해서 끄적여봅니다. 2페때는 화빙명암의 4패턴으로 나뉘어 있으며,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화 패턴은 극한의제단 보스 아가멤논의 오오라패턴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일정 범위 밖으로만 나가지 않으시면됩니다. 빙 패턴은 얼었을때 가만히 있으시면 됩니다. 절대 빙결을 푸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빙패턴때 홀리생츄어리 쓰는건 그냥 트롤이니 왠만하면 쓰지마세요. 명 패턴은 자신이 타겟이 되었으면 파티랑 멀리 떨어져 있으시면 됩니다. 딜러가 타겟이 되었으면 그냥 홀리생츄어리랑 생원으로 버티면서 아포받고 딜하시면 됩니다. 암 패턴도 명 패턴이랑 크게 다를것 없습니다. 그대로 해주시면 됩니다. 참고영상(제가 패치이후에 화산을 가본적이 적은지라 긴장해서 실수가 많습니다.) 레이드 초심자 홀리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0

140,681
프로필 숨기기
신고
4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