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사(여) 통합
쿠키푸딩 |
날짜 : 2016-10-15 19:46 | 조회 : 374 / 추천 : 0 |
|---|---|---|
[소환사] (장문)루크 레이드 관련 팁과 주관적인 던전별 의견1. 디스인챈트로 안티 디펜스류의 몬스터 버프를 해제 할 수 있다. 2. 디스인챈트로 루크의 공/이/캐를 감소시켜 유리하게 이끌 수 있으며, 배리어 딜탐이 아주 소폭 증가한다. 3. 10레벨 오라쉴드와 TP1을 찍으면 루크 광폭화(폭풍식)을 버틸 수 있다.(칼리고 기준) 4. 끈끈이가 먹히는 네임드가 상당히 많고, 귀찬은 챔피언 잡몹들속박하면 편하다.(11렙기준) 5. 레드크라운 분신 패턴은 끈끈이로 통과 가능하다. 6. 아우쿠소1레벨은 루크 껍질을 까는데 충분한 도움이 된다.(최대 3마리) 7. 에픽아이템인 우요가 있다면 일부 패턴에서 유리하게 작동한다. (루크 버티기 / 악검베아라 광폭화패턴 직전스위칭 등) 8. 파급 플라즈마 패턴 시 소환물이 쉽게 죽지 않는다. 겁내지말길 9. 천귀살은 좋은 배리어 파괴 스킬이며 좋은 무적기다. 10. 빛루크(루멘)을 간다면 배리어를 파괴하지 않고 딜링이 가능하다. 어차피 캐스팅이 빨라서 못부신다. 단, 파괴하지 못한 배리어의 Hp가 이후 껍질의 Hp와 관련이 있는듯하니 최대한 부시는게 좋긴한듯.. (이건 기분탓일지도) 11. 어둠루크(칼리고)에서는 모든 화력을 집중해서 배리어를 파괴하는것이 좋다. 배리어 파괴에 성공하고 딜타임이 나왔다면 남은 하이브를 다 쓰고 재소환하여 딜링하는것이 더 바람직하다. 12. 굳이 정마반은 필요가없다. 천귀살쓰고싶으면 스위칭 하시길 13. 다크고스 소환사는 진짜..애도를 표한다. 토벌실패의 주요 원인은 배리어다. 속추데미지가 1들어가는데 이부분이 패치되지 않으면 상당히 힘들다고 본다. 같이가는 파티원에게 업히던가.. 저지단계 [탄생의 성소] 네임드 배치에 따라 소환사로 2인플레이가 가능 딜+딜 구조보단 딜+버퍼(홀더)가 좀더 나은것같다. 물론 홀딩도 딜이 되야함. 다만 탄생 보스방 패턴에 따른 렉현상이 생각보다 심해서 소환사로는 비추(렉걸리면 딜안들어감) 어느정도 최적화가 된다면 스펙되는 소환사로 1인플레이도 가능할거같음. [소멸의 성소] https://youtu.be/SXDs7PssJFU 하부브를 소환물이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나 위 영상과 같이 패턴파훼가 가능하므로 홀리오더와 2인플레이가 가능하다. 이 경우 탄생에 3명이 가기때문에 소멸에서 램퍼드만 만나지 않는다면 빠른 저지를 할수있다고 판단한다. 물론 3인으로 가면 더 편할테지만 소멸네임드가 모두 보스형이기때문에 2인으로 가기엔 스펙자체가 매우 좋아야한다.(오늘 2인갔던 홀리 스펙은 3300에 시거풀에 있을거 다있는 홀리) 어차피 램퍼드가 나와 시간초과에 걸린다고 해도 맵에 즉사기 나오고 코인쓰면 시간이 다시 주어지므로(몹피통그대로) 그냥 잡아내면 된다. 패턴만 안다면 괜찬은 던전(렉도없고 버그도없다.) [파급의 성소] 빛의궁수가 좀 짜증난다. 맵이 넓고 개방형이기때문에 메모리 누수현상인지 렉이 좀 전체적으로 있다. 버그도 있어서 종종 튕기거나 소환물이 굳는 현상이 있다. 소환물이 굳을경우 다른 파티원이 맵을 넘어갔다가 돌아오면 풀린다. 사실 파급보스 자체가 소환사에게 상당히 유리한편이고(레이더 무시하고 본체만 레이더밖에있다면 프리 딜가능) 플라즈마 패턴에서 신가를 소비하면 베일에서 쓸 수 없으므로 패턴을 무조건 보는게 정석이다. 게다가 에체베리아와 카시야스는 플라즈마 패턴에서 죽지 않음.(상정은 거의 끝자락에 죽음) 곧 플라즈마 패턴을 보면서 지속딜이 가능하다. 콰드로마누스나 아르고스가 있긴하지만 3인으로 플레이하는만큼 큰 어려움도 없을뿐더러 아마 소환사가 앞으로 가장 자주가게 될 던전이 될것같다. 토벌단계 [증오의 베일] 저잡붙이고 지속딜이던 하이브던 이것저것 많이 해봤지만 가장 안정적인건 입장 아포 후 블랙미러나 나할등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천귀살로 빠르게 배리어를 부셔버리는것이 안정적이었다. 파티마다 방법이 있겟지만 극폭염으로 홀딩하는건 조만간 막힐게 뻔하기 때문에 이방법이 가장 나을거라 생각한다. [루멘 루트] 빛루크를 잡는 루트이다. 일단 빛루크는 버티기는 별로 어렵지 않으나 배리어의 캐스팅 시간이 매우 빠르다. 곧 순간딜링능력이 부족한 소환사입장에서는 같이가는 딜러가 엄청나게 뛰어난게 아닌 이상 배리어 파괴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배리어 패턴이 나오면 소환해제 -> 재소환 -> 대충 1하이브씩 배리어 타격하고 껍질깐뒤에 하이브로 딜하는식으로 꾸역 꾸역 루크를 잡을 순있다. 하지만 비효율적이라 소환사가 루멘을 가는건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어차피 네임드는 모두 잡는거고 베일 외엔 그닥어렵지 않으므로 패스한다. [칼리고 루트] 어둠의 루크를 잡는 루트이다. 어둠의 루크는 버티기가 사실 어렵다. 상당히 데미지가 강하게 들어오는편 하지만 배리어의 캐스팅 시간이 루멘에 비해 긴편이라 하이브를 모두 박을 수 있다는점이 배리어 파괴에 대한 가능성이 좀 더 크다고 할 수있다. 곧 배리어 파괴 -> 딜탐유도가 가능하므로 지딜러인 소환사가 어느정도 활약을 할 수 있는곳이다. 다른직업군들이 배리어파괴에 대부분의 스킬을 사용한 뒤 루크 본체에 딜을 넣기 힘든걸 본다면 소환사는 이쪽에 희망을 걸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장비스펙에 대해서 상당히 안타까운말이지만...에픽 풀아니면 힘들다고 본다. 솔직히 거형풀도 걸러야 할판 어느정도 너프를먹는다면 모르겟는데 지금 루크레이드상태로 소환사가 다른 최상위 딜러에게 업히는게 아니라면 소환사의 스펙은 최소 이기 + 에픽풀 이어야만 가능할것같음. 소환사를 낀다 = 전력이 대폭감소한다. 이므로 스펙자체가 중요할 수 밖에 없는듯 |
||
쿠키푸딩
0
408,134
프로필 숨기기
신고
81
1%


쿠키푸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