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사(남) 통합
![]() |
날짜 : 2017-03-26 23:46 | 조회 : 911 / 추천 : 2 |
---|---|---|
[디멘션워커] 루크 다닐때 몇몇 생각나는 것(경험담)밑에 루크 딜 넣는법 물어보시는 분이 있길래 이것저것 다니면서 배우고 느낀 점을 적어봅니다. 시간대 문제때문에 고정 없이 매번 공팟으로 다니며 이곳저곳 다니면서 얻은 팁? 같은거랄까요 그런걸 몇 개 적어보려 합니다. 저는 주로 어둠루트를 탔었습니다. 저도 머릿속에는 이 정도로 생각하지만 실전에서는 손이 안 따라줍니다 ㅠㅠ... 그러니 레이드에서 만나서 '이 분 왜이리 딜을 못 넣지' 라고 하지 말아주세요. 팩폭 아파요... 그래도 마음만은 항상 파티원에 폐가 되지 않도록 최대한 맞춰 플레이하는 중입니다. 디멘션은 기본기보다 상위기술에 딜이 너무나 치중된 캐릭이란 점과 설치는 빠르지만 풀딜 넣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을 생각해주셨으면 해요. 0. 공팟 위의 언급처럼 풀딜 넣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걸 다 박을 시 쿨타임동안 평타치고 있어야합니다. 그렇기에 디멘션에겐 스킬 하나하나가 소중하고, 몹의 무적패턴으로 삑이나거나 딜부족으로 원턴이 안 나면 굉장히 피곤해집니다. 그렇기에 디멘션은 저지에서 몹들이 녹는 속도를 보고 토벌에서 어느 정도 딜 조절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파티원 전체적으로 딜이 부족한데 '이 정도면 내 스킬 쓸건 다 썼어!' 식으로 플레이 하시면 절대 안 됩니다. 그러다 터져요 ㅠㅠ... 1. 다단히트 제한 몹 공팟을 다니며 항상 조합이 바뀌다보니 눈치보이는 골칫거리 중 하나입니다. 대표적으로는 아르고스 카나프스가 있는데요. 다른 몹은 설치형인 1각+자장가+포지트론+기타스킬이 디멘션 딜의 시작이라 치면 얘네는 1각 + 사상 시공폭뢰 + 싱귤 + (1각 끝날쯤에) 자장가 + 차원회랑 + 포지트론 +@ 이런식으로 다단힛을 완급조절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글이야 이렇게 적어놨지만 실전에서는 아르고스는 패다보면 무적이 되있고, 카나프스는 스크래치패턴이 나오기 마련이라 나름의 딜테이블을 2~3개로 나눠놓으면 편합니다. 2. 스킬 실루엣 차원광 할리퀸 여러분의 스킬트리마다 다르겠지만 통상적으로 기본기의 역할을 하는 스킬들입니다. 개인적으론 세가지 스킬중에 차원광에 표를 주는데, 이유는 차원석 유무에 따라 다단/단타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딜도 나름 쏠쏠한 편이구요. 물론 실루엣도 단타로써 문제 일으킬 일은 없기에 쿨도 짧고 괜찮은 기본기라 생각합니다. 할리퀸은 껍질 깔 때 굉장히 유용합니다. 디멘션리프 (사상)칼레이도스코프 (사상)패러다임디토네이션 칙잇 기본적인 홀딩기 역할을 하는 스킬들입니다 칙잇 같은 경우에는 저도 마스터 했었지만, 몹에 따라 아예 봉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서 1로 전환했습니다. 그런 문제점들로 인해 저는 홀딩기가 탑재된 스킬들은 모두 1 줬습니다. 어차피 디멘션의 포지션은 딜러이기 때문에 홀딩분들이 다음 홀딩에 이어나갈 수 있도록 선홀이나 틈을 메꿔주는 정도로 사용하면 됩니다. 패러다임은 좀 생각 해봐야 할 것이... 기본 옵션이 채널링이기 때문에 '스킬 다 돌리고 쿨초템도 다 돌렸는데 몹은 안 죽고 스킬 쓸 거는 없고, 2딜로 간 다른 딜러분이 스킬 더 넣을 여지가 있다!' 같은 경우에만 쓰더라구요. 차원회랑 (사상)액시던스+시공폭뢰 패러사이트스웜 (사상)싱귤레리티매니플레이션 잡몹을 한번에 정리 할 수 있는 범위형 스킬들입니다. 그나마 차원회랑 tp찍고 돌리는게 가장 편하긴 한데 매번 방마다 쓸 수는 없으니 위에 적은 스킬들로 정리하는편입니다. 스웜은 선딜때문에 그렇게 자주까지는 사용하진 않습니다. 그리고 모두 딜타임때 부어야 하는 스킬이므로 파티원이 잡몹을 잘 정리 할 수 있는지 상황을 파악하고 사용하셔야 합니다. 시공폭뢰 패러사이트스웜 포지트론블래스트 싱귤레리티매니플레이션 저편의자장가 형용할수없는공포 금단의연회 디멘션의 메인이 되는 폭딜형 스킬들입니다. 말 그대로 딜타임의 주를 이루는 스킬들인데, 적어놓고 보니 생각보다 적네요. 시공폭뢰 기본적으로 홀딩이 빵빵하다 / 무적기 탑재가 없는 몹이다 라면 사상으로 씁니다 패러사이트스웜: 다단힛이 많기에 상황에 따라 씁니다. 포지트론블래스트: 다단이긴 하지만 딜이 그만큼 따라주기에 버릴 수 없습니다. 싱귤레리티매니플레이션: 노사상시 사상보다 딜이 꽤 높아집니다. 아포타임처럼 빨리빨리 넣어야 하는 경우 제외하면 비설치기로 사용하되, 홀딩에 민감한 몹들이나 타점이 중요한 파티원이 있는 경우 그냥 사상으로 써줍시다. 저편의자장가: 미스트 붙이고 안 붙이고에 따라 딜이 몰리는게 확연하게 차이가 납니다. 형용할수없는공포 : 풀힛까지 7초정도 걸리기에 그냥 풀힛은 포기하시는게 편합니다 금단의연회: 방방 뛰어댕기는 애들에게 노사상으로 써주면 좀 조용해집니다. 호루스형제에게는 사상으로 써줍시다 쿨초템이 있다면 힘들것 같은 네임드에서 1각이나 2각 중 하나를 곁들여서 쓰고 쿨초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3. 몹(네임드) 생각나는 몇몇만 적어볼게요. 아르고스 / 카나프스 다단히트를 가진 스킬을 따로따로 써주되 중간중간 단타스킬도 넣어주는 식으로 플레이합니다. 잡몹을 전부 잡으면 딜타임을 준다고 하는데 디멘션이 풀힛하기에는 적은 시간이라 아마 대부분 공팟에서는 저런식으로 플레이해야 할 겁니다. 2딜이라면 다른 딜러분에게 부탁하는 편입니다. 저는 1각을 여기서 쓰는 편입니다. 카나프스 역시 비슷하게 플레이합니다만, 카나프스는 체력한계선으로 발생하는 패턴도 있기에 더 주의하셔야 합니다. 스네이더/아슬란 진짜 한번에 못 잡으면 지옥을 보는 몹 중 하나입니다. 얘네 만나면 꼭 각성기중 하나를 씁니다. 쌍둥이남매 광폭을 뺄지 안 뺄지에 따라 조금 다르게 플레이 하시면 됩니다. 광폭은 빼야하는데 모아주는 홀딩이 없을 경우 노사상 2각으로 광폭을 빼주시면 편합니다. 아이언 비스트 입장 홀딩에 잡을 수 있는 스펙이라면 칙잇으로 선홀을 해주시면 되지만, 홀딩후 억지로 패려하면 스킬만 날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경험상 차라리 한번 날리고 잡는게 편한 것 같습니다. 야신 입장 후 패턴동안 열심히 쿨초 할 시간을 주는 고마운 친구입니다. 파티원에게 광폭 빼고 잡을지 카운터로 잡을지 꼭 물어보시길 바랍니다. 이도저도 아니게 스킬을 날려버리면 힘들어지는 겐지라... 부폰 디멘션이 원거리/설치계열 스킬이 많아서 배리어 부수기 편합니다. 정상적인 파티원이라면 원을 피해다니겠지만... 그래도 할 수 있는 선에서는 최대한 조심해서 부숴줍시다. 딜타임이 정직한 몹이라 굉장히 좋아하는 몹 중 하나입니다. 베아라 이 친구도 딜타임이 정직한 몹이라 굉장히 좋아합니다. 패턴에 당해도 불사+포션으로 안 죽기에 부담도 적습니다. 4.쿨초템/스오위 원턴에 죽일 수 있다면 모르겠지만 저처럼 딜이 살짝 모자라시면 있고 없고 차이가 납니다. 딜타임에 주가 되는 스킬들이 쿨타임이 긴 편이기때문에... 저는 메인템 폭딜기+은시계/정마쿨 돌아온 폭딜기1~2+(정마가 안 돌았다면 텔포) +쿨 돈 폭딜기 + 나머지 기본기 이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오위 불사 옵션으로 피 90퍼센트로 부활합니다. 만약에 어둠루크에서 1p인 홀리가 죽고 2p인 저에게 가두기가 시전된다면 스오위로 스위칭 하시고 포도알이건 새틀빔이건 다 맞으셔도 됩니다. 대신 이경우까지 온 파티라면 딜러가 딜타임에 갇혀 제 역할을 못 할게 뻔하므로... 터질 확률이 높습니다. (가두기 패턴 시전될 때 겹쳐서 히트를 넣으면 바로 깨진다고는 하는데 성공해본적이 없네요.) 5.루크(어둠) 배리어 첫 배리어를 부수고 껍질을 깐 후 저장소가 2번째 배리어때까지 안깨질 것을 대비하여 껍질을 남겨둘 것인지,껍질을 다 벗기고 대기할 지 두 선택지가 생깁니다. 여기서 저지에서 토벌까지 오면서 '딜링기'의 다단히트로 유발되는 패턴은 몇번씩 겪으며 얼추 파악은 할 수 있어도, 딜링기를 제외한 다단힛을 위한 스킬들 (예로 들자면 1찍은 할리퀸 같은 것)이 다른 직업에 얼마나 산재해있고, 파티원이 그걸 활용하여 껍질을 까는지 아닌지도 모르는데다가 일일히 물어보기도 힘들기에... 대부분의 공팟은 첫 배리어 부수고 껍질 제거 후 대기하는것이 보편적입니다. 하지만 제가 겪은 바로는 첫 배리어 부숨-껍질까고 대기-두번째배리어 생성-저장소클-두번째배리어 깨느라 딜할 히트수가 적어짐(+아포도 날아감) 이런 경우가 굉장히 많았기에 차라리 껍질을 모두 벗기지 않는걸 추천합니다. 실전에서는 사실 조합도 다르고 가늠도 안 되기에, 위의 보편적인 방법대로 가되 스킬 헛방이 나지않도록 스스로를 딜타임에 맞추는 편입니다. 가두기 홀리분이 죽지 않는다면 여러분이 걸릴 일은 없지만 가두기+새틀+폭발로 홀리분이 죽을 수도 있기에 홀리가 갇히게 된다면 텔포와 원거리 설치 딜링이 가능한 디멘션이 새틀빔을 끌어주는게 좋습니다. 그럼에도 제어가 불가능 한 것 ![]() 한 장으로 요약하자면 장시간의 딜로 일어나는 문제점은 플레이어가 어찌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아무리 노력해보아도 중간중간 생기는 무적도 디멘션이 어찌 할 수 없습니다. 제발 다 맞도록 기도하는 수 밖에... + 사실 중간중간 홀딩 넣으면서 하면 될 법도 하지만 변수가 많은 공팟에서는 그냥 홀딩 안 하는게 광폭도 안 띄우는 길이라 생각하여 시도해보지 않았습니다. 실험삼아 단 한 번 파티원분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딜이 넘치던 파티라서) 노사상 2각을 써보았는데 광폭이 뜨지 않긴 했습니다. 물론 다단이 들어갔다면 어찌 됬을지 모르겠지만요. ++ 디멘션이 루크에서 딜을 못 넣는 이유는 둘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데, 첫째는 파티원과의 껍질 합이 안 맞아서 딜타임이 오락가락하는 경우 둘째는 장시간의 딜링과 루크 무적의 콜라보로 딜링이 증발하는 경우 두개 다 겹치는 경우도 있고요. 첫째야 극복 할 수 있다고 쳐도 둘째는 솔직히 홀딩분이 어센션 딜 넣는걸 유심히 지켜본 분이 아닌 이상... 힘들더라구요. 그런 홀딩분은 여태 공팟하면서 단 한 분밖에 못 봤네요. 그래서 저는 항상 공팟 가면 솔딜보단 2딜조합이 안심되더라구요. 6.마무리 가장 최근것 몇개만 집어서 딜표를 보자면 루크의 경우 60~100억 사이로 파티원의 조합과 루크의 무적사용 여부에 따라 딜은 천차만별 차이가 나더라구요 가장 잘 맞아주는 저장소 베아라는 아포 받고 한사이클 기준 항상 60~70억 뽑습니다.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씁니다. 저도 아직 배우는 중이라 더 좋은 방안이 있으신 분은 댓글로 팁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

80,804
프로필 숨기기
신고
3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