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너(여) 통합
![]() |
날짜 : 2016-06-27 22:04 | 조회 : 387 / 추천 : 3 | ||||||||||||||||||||||||||||||||||||||||||||||||||||||||||||
---|---|---|---|---|---|---|---|---|---|---|---|---|---|---|---|---|---|---|---|---|---|---|---|---|---|---|---|---|---|---|---|---|---|---|---|---|---|---|---|---|---|---|---|---|---|---|---|---|---|---|---|---|---|---|---|---|---|---|---|---|---|---|
[메카닉] 여메카 패치 피드백 및 개선안솔직히 퍼섭패치를 보고 기대를 접었는데 그보다 많은것이 돌아와서 너무 좋습니다. 특히 로보틱스 개편이 말이죠. 일단 제 딜 기준으로는 딜이 만족스럽습니다. 로보틱스 스위칭에서 쿨집이 좀 25% 확률이라 발동이 힘들다지만 그걸 제외하고라도 데미지 상승량이 제가 전에 개편안에서 제시한 정도의 수치는 나와줬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 저는 딜보다는 지금 여메카에 가장 문제가 되는 구조, 그리고 유틸에 관해서 중점적으로 쓸까 합니다. 이글은
궁극적으로는 탈크 옵티의 개편위주기때문에 크로니클의 하향을 다뤘고 그부분에 대해서는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1. 스킬 갯수의 부족 및 g시리즈의 스포 소모 문제 여메카의 경우 g시리즈자체가 하나의 스킬임과 동시에 4개의 다른 방법으로 운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g시리즈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위해선 시너지등의 이유로 4개의 모든 스킬을 마스터 해야하죠. 그런데 달계
마스터의 기준으로 4개의 g시리즈를 마스터 하게되면 3590이라는 sp가 소모됩니다. 거기에 버프와 1/2각패를 찍게되면
5450이라는 수치가 남게되죠. 즉 버프와 패시브 + g시리즈를 찍으면 현재 가진 스포의 반을 소모하게 되는것입니다. 그리고 남은 스킬은 2각과 바이퍼를 제외하고 필수로 찍어야되는 크리같은 스킬들을 제외한다면 스패로우 매드 바이퍼제로 중 택2 + 은탄 을 찍어야 하는 상황이 옵니다. 이렇게 되면 딜링 스킬은 1/2각을 제외하고 은탄 바이퍼 g시리즈 + 무큐기 2개가 되는것이죠. 1/2각을 제외하고 5개의 스킬을 가지고 운용해야 합니다. 심지어 그중 바이퍼와 무큐기2개는 독립 오브젝트이구요. 제가 자주 하는 스톰/검마/바머의 경우는 1/2각을 제외하고 8개의 공격스킬을 마스터해서 사용하고 있고, 2각에서 패시브와 버프기를
받은 엘마와 퇴마의 경우 7개의 스킬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가 키우지 않는 다른 케릭을 조사해봐도 평균적으로 8개의 공격 스킬을 마스터해서 사용하고 +@ 가 좀 남습니다. 2각 스킬에 버프기가 있는 케릭의 경우, 평균 7개의 공격스킬 스킬을 마스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반해 여메카의 경우 은탄을 포함하면 5개 포함하지 않을경우에는 4개의 공격스킬을 마스터 하며, 거기에 +@로 g시리즈가 붙습니다. 그중 3개는 독립오브젝트이기때문에 딜 기대가 크게 힘들다는것을 감안하면 딜링능력에 있어서 거의 g시리즈에 의존해야하는 형태 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g시리즈가 4개 스킬분의 몫을 할 수가 없습니다. 개발자 노트에서 퇴마사 개편쪽에 밸런스팀이 언급하신것처럼 ( '퇴 마사 전체로 보면 스킬 개수가 타 캐릭터의 평균보다 많지만, 물리/마법 퇴마사로 나뉘다 보니 실제 사용 가능한 스킬 개수는 오히려 타 직업보다 적어지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사용 가능한 스킬의 개수가 적다는 것은, 비록 각 스킬의 개별 공격력에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전체적인 딜링 능력의 약화를 가져왔는데요.' ,http://df.nexon.com/df/mediazone/magazine/devnote?t=1465800095&mode=view&no=291864#2-4') 여메카도 동일한 상황입니다. 개선안 1. g시리즈의 스킬포인트 재조정 혹은 무기의 극의처럼 변경 2. 두개정도의 독립 오브젝트가 아닌 일반 신규 액티브 스킬 추가. 2. 전체적으로 긴 시전시간을 요구하는 스킬의 개편이 필요
제가 키우고 있는 몇개의 마딜의 35제부터 2각까지의 표기 캐스팅시간을 측정한것입니다. 물론 저기에 없는 케릭도 있지만 제가 확인한 사령/어벤져/빙결의 경우 스킬 대부분이 즉시시전 이었으며, 그나마 캐스팅이 있는건 암제와 염제 그리고 소울 정도지만 세 케릭 모두 여메카보다는 캐스팅에 걸리는시간이 평균적으로 짧았습니다. 남메카의 경우는 자체 캐스팅 증가와 대리설치를 친구들이 있어서 여메카보다는 많이 나은 상황입니다. 엘마의 경우 쇼타임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캐스팅 시간이 긴것을 제외하면 파각이나 활숨으로 캐스팅 속도를 올릴 수 있는 아수라와 염황,염제 조차도 여메카보다 캐스팅 시간이 짧습니다. 이것이 왜 문제가 되냐면 여메카의 경우 배틀로이드, 스패로우, 고기동, 템페스터가 약 10초이상의 딜링 타임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딜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깁니다. 그런 상황에서 캐스팅에 필요로 하는 시간까지 길기때문에 딜타임이 너무 늘어지는 경향이 큽니다. 이런 문제는 안톤 레이드나 각성 안톤 그리고 안톤 일반던전의 멜타도록, 용암괴충, 흡수의 에게느 같은 몹에게 딜타임 전에 미리 설치해도 풀히트가 안되는 상황이 생깁니다. 즉 몇개 가진 스킬도 없는데 그 스킬의 딜조차 제대로 낼 수 없다는게 문제입니다. 개선안 : 1. 전체적인 캐스팅 시간을 다른케릭과 비슷하게 감소 or 남메카의 친구들과 비슷한 기능(로봇 대리설치 or g시리즈 변환 중에도 다른 행동 가능)을 오퍼레이터에 추가 2. 배틀로이드의 캐스팅 + 락온에 걸리는 시간을 대폭 단축 (고기동처럼 변경) 3. 배틀로이드, 고기동의 공격시간을 7~8초까지감소. 혹은 순간딜이 가능하도록 기능 추가 (ex 파검무, 광충) 4. 스패로우의 경우 딜링시간이 길지만 경직유틸을 담당하는 부분이 있기떄문에 순딜과 지딜을 고를 수 있도록 광충이나 파검무같이 순딜도 가능하도록 기능 추가. 3. 크로니클과 탈크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여메카의 경우 스킬자체가 적고, 크로니클 옵이 너무 좋기때문에 탈크를 하게되어도 크로니클과의 격차를 벌리기가
다른케릭보다 많이 힘듭니다. 물론 탈크가 안되는 케릭보다야 낫지만 이게 큰 문제라는건 어느정도 공감하실겁니다. 이걸 해결하기
위해서는 3가지를 고쳐야 하는데 이게 크로니클을 사용하는 유저들에게 있어서는 많은 반발이 생길 수 있다는게 조금 아쉽기도 합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앞으로의 메타인 탈크와, 네오플에서 언급한것처럼 만렙에 계속 풀리다보면 신규 스킬이 또 생길텐데 (' 퇴마사 전체로 봤을 때의 스킬 개수가 지나치게 많아짐은 물론, 향후 최고레벨 확장 등을 거치며 신규 스킬이 추가될 때마다 계속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http://df.nexon.com/df/mediazone/magazine/devnote?t=1465800095&mode=view&no=291864#2-4) 그때가서도 크로니클에의존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 최대한 탈크 위주의 셋팅으로 가게끔 바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에 관해서는 크로니클 유저들의 양해가 필요합니다. 개선안 1. 데블스 커맨드의 3셋옵인 바이퍼 수명 3초 증가옵 삭제, 바이퍼 데미지 증가 및 1각패 적용 2. 트랜스폼 페인스테이커 3셋옵의 g시리즈 변신 쿨타임 2초 감소, 롤링썬더 쿨타임 0.5감소 옵을 삭제하고 케릭터 기본옵에 적용. 3. 신규 액티브 스킬을 두개정도 추가해서 g시리즈 위주인 지금의 딜링구조에서 g시리즈 점유율을 낮춤. 4. 트랜스폼 워스프와 트랜스폼 페인스테이커의 과도한 랩터 댐증을 어느정도 하향. 4. 스위칭 및 실시간
여메카의 경우, 스패로우, 랩터, 롤링썬더, 고기동, 바이퍼, 바이퍼제로가 마공과 속강 스위칭이 가능하며, 배틀로이드의 경우 레벨링 스위칭이 가능합니다. 고기동과 g시리즈는 레벨링이 실시간입니다. 이점을 굳이 언급하는 이유는 지금 여메카 자체가 랩터에 의존하는 성격이 크며, 이것은 크로니클의 경우 랩터를 스위칭하므로서 대미지적 이득을 크게 가진다는 것 입니다. 또한 탈크 여메카의 경우 배틀로이드가 레벨 스위칭이 된다는것과, 배틀로이드 9렙옵이 레벨의 상승치만큼 증가하기 때문에
18렙 배틀로이드로 스위칭 할 경우, 9렙 배틀로이드보다 대략 5~60%정도 더 강하며, 거기에 g시리즈렙이 각각 19초동안
14렙씩 증가해서, g시리즈의 평균 대미지 증가량이 50%가 넘고, 프리스비의 경우는 약 110%의 데미지 증가량을 가져옵니다. 랩터 스위칭의 경우, 지금 데미지 자체가 랩터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기 떄문에, g시리즈의 데미지를 어느정도 평준화 하고, 스킬을 추가하게 되면 사실상 큰 의미가 되지 않지만, 배틀로이드의 경우에는 스위칭으로 이득받는 부분이 너무 크기때문에 배틀을 사용함과 하지 않음에 있어서 데미지적 격차가 너무 큽니다. 즉 배틀로이드를 사용하는 순간의 여메카는 강하지만 그게 없다면 강하지 않다는게 문제라는거죠. 그렇기에 어느정도 배틀로이드를 사용 하는것과 하지않는것의 갭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그게 앞으로의 루크레이드를 대비해서는 좀 더 바람직한 상황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또한 몇몇 스킬의 마공과 속강이 시전시다보니 보통 보스에서 아포같은 류의 시너지를 받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위에서도 언급한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스킬의 시전시간이 길기 때문에 미리 설치해야 합니다. 하지만 다른케릭의 경우 보통 실시간이다보니 굳이 여메카를 위해서 맞춰줄 이유가 없다는 것이 문제라는 것 입니다. 그렇기에 혼자 딜하는것이 아니면 보통 다른케릭을 위주로 맞춰주는것으로 인해 상대적인 불리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선안 1. 배틀로이드의 레벨링 실시간화, 배틀로이드 9셋옵 변경. 배틀로이드 데미지 상향, 2. g시리즈, 고기동 스패로우 등의 마공과 속강 실시간화. g시리즈 데미지 상향 (굳이 크로니클 하향에도 g시리즈 데미지 상향을 적지 않은 것
은 탈크유저가 손해보는게 없기 때문이고, 데미지 증가는 롤랩 실시간화와 9셋옵 변경으로 인한 대미지 증가치만 적당히 받아도
g시리즈가 문제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너무 g시리즈의 데미지를 올려서 g시리즈에만 의존하는것은 좋은 방향이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5. 생존능력 및 유틸 슈아포가 하향되고, 천상이 사라진 지금에는 생존능력이 꽤 중요하다고 봅니다. 메카닉의 경우에도 생존 능력을 올려주는 카모플라쥬가 지만 솔직히 다른 케릭들의 스킬이 오라쉴드라거나 엘레멘탈 쉴드, 케이가 등등과 같은것과 비교해보면 문제가 많습니다. 일단 만렙인 10렙의 경우 24초의 지속을 가지고 있고 쿨타임이 60초입니다. 물론 파티버프이기에 어느정도 이점이 있다고는 하지만 무큐까지 먹는 스킬이라는것을 보면 암울하죠. 게다가 가장 중요한건 카모플라쥬 상태에서만 옵션이 적용되는 반쪽자리라는 겁니다. 위의 문제로 인해 메카닉의 생존능력은 다른케릭보다 떨어질 수 밖에 없고, 그로인해 카모 개편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또한 유틸적인게 거의 없어서 딜링을 넣기가 애매한 문제가 있습니다. 당장 스패로우나 고기동의 경우, 딜링시간은 길지만 공격 가능한 범위는 정해져 있기때문에 몹이 그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사실상 의미가 없게 됩니다. 그
리고 전체적으로 몹들의 공격력이 강한것에 비해서 랩터의 hp는 너무 적기때문에 랩터가 공격 못하는 상황이 많이 생기게 되죠.
그리고 저번에 패치된 코로나 사정거리 증가는 오히려 사정거리가 너무 길게 됨으로서 적당히 가까이 있는 작은 몹에게는 맞추기 힘든 상황이 생겨버렸습니다.
개선안 1. 카모플라쥬 쿨지속 동일화 혹은 정자극 사용시 무한유지 가능하도록 변경 & 카모플라쥬가 풀리는 상황이어도 지속시간동안 옵션 적용 2. 스패로우의 경직시간 증가 및 순딜 기능 추가. 3. 고기동의 순딜 기능 추가 or 강한 경직 혹은 홀딩 능력 추가 4. 랩터의 hp 옵션 삭제 5. 코로나 사정거리 롤백 6. 가능하다면 어느정도 선홀딩 가능한 신규 스킬 추가 7. 배틀로이드시전시 g시리즈 해제 옵션 삭제 6. g시리즈 관련 g시리즈를 솔직히 보자면 아쉬운점이 많습니다. 탈크를 하게 되면 변환쿨의 압박에 시달리는데 이걸 줄여주는건 단 2가지입니다. 페인3셋의 옵션과, 1각패죠. 하지만 문제가 있는게 1각패의 경우 각각 단리로 5중첩이 되는데, 이걸 5중첩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변환쿨마다 변환한다고 해도 거의 20초정도 걸립니다. 즉 변환쿨이 문제라서 1각패를 모두 받아야 그나마 나아지는데 이걸 풀로 받으러면 또 변환쿨이 걸려서 중첩하는데 오래걸리는 웃기는 상황이 연출됩니다. 심지어 더 문제는 던전 클리어 시간이 짧거나 하는 던전의 경우에는 5중첩을 하지도 못하고 던전이 끝나버린다는것 입니다. 정말 웃기는 상황이죠.
웃긴점은 이것만이 아닙니다. 무려 80제 스킬인 프리스비의 경우, 코로나보다 약합니다. 하지만 자체 변환쿨을 가지고 있는 어처구니 없는 점도 그렇고, 고작 지속시간은 10초인데 반해 쿨은 무려 45초라는 기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도대체 이게 왜 80제 스킬인지 의문이 갈정도로 약하고, 사용처는 잡몹처리밖에 안되는 그런 스킬이죠. 거기에
시너지조차 다른 g시리즈보다 50%밖에 안되니 도대체 왜 이런 패널티를 가지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사실상 기본기 정도의 능력밖에
가지지 못하며, 80제에 있을 의미가 없는 스킬입니다. 또한 리미트오버의 경우, 여메카가 스킬로 상향 받아야 할 수치를 2각시즌떄 리미트 오버로 받았기 떄문에 증가량이 가장 높은 랩터의 경우109%라는 데미지 증가량을 가집니다. 일개 버프기치고는 너무 과한 수치죠. 문제는 그 과한 수치를 받아야 케릭 역활을 하는게 메카닉인데 이 리미트 오버의 지속시간은 20초에 40초라는 쿨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신자극의 비약을 먹는다고 해도 12초라는 긴 텀을 가지게 되는거죠. 그렇기에 리미트 오버가 꺼진 상황이면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마지막으로 코로나의 경우 20초의 지속을 가지고 있고, 40초의 쿨을 가집니다. 사실 평소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특정 패턴의 경우 이게 심각하게 문제가 되는 상황이 옵니다. 행동불가의 제약을 가질떄의 경우 g시리즈의 캐스팅은 없지만 변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g시리즈가 꺼지게 될 확률이 높고, 이런상황이 오면 각패를 5중첩 시키는것과 코로나의 쿨이 40초나 되는게 문제가 되죠. 안톤던전의 마테카의 경우, 마테카의 쉴드에 닿을 경우 g시리즈가 사라지기 때문에 사실상 40초의 긴 쿨타임을 가지고는 많은 애로사항이 생깁니다. 전체적으로 쿨 지속을 재조정하거나 다른 방향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개선안 1. g 익스탠션 중첩횟수 1회로 감소 그에 맞게 옵션 재 밸런싱 2. 프리스비 일반스킬로 전환 및 쿨/지속 그리고 자체 변환쿨타임 삭제 그리고 대미지 재 조정, 신규 80제 추가 3. 리미트 오버 삭제. 그에 맞게 g시리즈 재 밸런싱. 신규 75제 추가 4. 코로나 지속 30 쿨 10초로 변경 그리고 행동불가 상황에서도 g시리즈 변환 가능하게 변경 솔직하게 말해서 리미트 오버를 삭제 시키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리미트오버의 뎀증치가 너무 큰데 반해서 쿨지속이 차이가 너무 길기때문에 삭제 후 재 밸런싱 아니면 무한지속화가 답인데 리미트 오버 관련 버그를 고치질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신규 스킬이 필요하기도 하기때문에 그렇구요. 리미트 오버와 관련된 버그가 3개가 있는데 하나는 쿨만 도는 버그고, 하나는 안써지는 버그고, 또하나는 리미트 랩터시에 일반 랩터보다 리미트 랩터가 붙는데 걸리는 시간이 더 오래걸립니다. 저 3가지 문제가 너무 크고, 이게 리미트 오버 나오면서 생긴 버그인데 아직도 안고쳐주는걸보면 삭제하는게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7. 독립 오브젝트 아마 이것에 대한 개편 요구는 어느정도 비슷할것 입니다. 가장 바람직한 경우는 오라와 독오렙 삭제 및 증추댐 적용이지만 사실상 이것을 해줄지는 미지수이기떄문에 좀 문제긴 합니다. 물론 독오와 관련된것은 이것 뿐만이 아니라 메카닉 특유의 차별도 언급할 것 입니다. 메카닉의 차별에 대해서 간
단하게 말하자면 독립오브젝트인 무큐기 모두가 대략 남메카가 최대 10%가량 퍼뎀이 여메카보다 높습니다. 가장 심한 바이퍼 제로의
경우 사출랜드 전폭까지 하게되면 차이는 엄청 크게 늘어나게되죠.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전폭을 사용하는 카운터 어택이나 메카드롭의
경우 남메카가 우위를 가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적어도 설치형인 바이퍼 제로나 스패로우의 경우에는 여메카가 남메카보다
딜적 우위를 가져야 한다고 봅니다. 물론 남메카의 경우에는 바이퍼제로나 스패로우의 전폭 매리트를 더 강화시켜서 하는 방향으로
하구요. 제가 생각하는 대략적인 폭의 차이는 10~15%정도 입니다. 이정도가 너무 크지도 적지도 않는 폭이고 서로간의 특성이 될수도 있다고 보니까요.
그리고 지속시간이 오래걸리는 스킬인 스패로우의 경우 위에서 몇번 말했지만 순딜 기능을 추가하거나, 아니면 유틸적으로 강한 경직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변해야 하고, 메카드롭의 경우 딜링 시간이 오래걸림과 동시에, 딜의 편차가 큰 만큼 어느정도 딜의 평준화를
맞출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선안 1. 독립오브젝트의 레벨 및 오라이중적용 이점 삭제 그리고 증추댐화 2. 여메카가 설치류 스킬에 있어서 조금 더 우위를 가지고, 전폭기에 있어서는 조금 열세를 가지도록 특성에 맞게 밸런싱 조절 3. 스패로우에 강한 경직 추가 및 순딜 능력 추가 4. 락온 메카드롭의 옵션을 기본 메카드롭으로 적용 전체적인 글의 내용을 조금 요약하자면 1. 스킬추가와 전체적으로 열세인 독립오브젝트의 상향등을 요구함으로서 딜링 능력을 최대한 고르게 분포시킬생각으로 글의 틀을 짰습니다. 2. 너무 지속딜 위주로 치우쳐진 딜링능력을 1/2각과 스패로우 매드의 개편을 통해서 지속딜 뿐만 아니라 순딜능력도 어느정도 가질 수 있도록 하게끔 했습니다. 3. 전체적인 구조적 문제의 개선을 요구하고, 생존 능력과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느껴진 것의 유틸 추가를 건의했습니다. 4. 과도하게 스위칭에 의존하게 되는 경향을 배제시키고 전체적인 딜상승을 요구했습니다. 5. 크로니클의 하향을 요구하고, 탈크와 크로니클간의 격차를 좀 더 벌리도록 했습니다. 대충 이정도 입니다.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ps. 몇몇 데미지 관련을 제외하고 비슷한 내용이 들어간게 있는데 이건 각부분마다 공통적으로 겹치는것이기때문에 그냥 다 넣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ps2. 블로그 글 복붙이라 기독성이 좀 떨어지네요. |


5

522,655
프로필 숨기기
신고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