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너(여) 통합
![]() |
날짜 : 2016-05-09 14:56 | 조회 : 1935 / 추천 : 20 |
---|---|---|
[레인저] 로제 개선안체인 글린트 -최대 횟수 4회에서 6회로 증가 -쿨타임 감소 아이템이 스킬 쿨타임에 적용되게 변경 -횟수를 전부 사용했을경우 스킬 캔슬은 적용되지만 증가 데미지는 적용되지 않도록 변경 (대신 쌓이고있던 쿨타임은 초기화됨.) ->기본 글린트 갯수의 증가와 쿨타임에 감소 아이템을 적용시킴으로서 "한정된 조건에서 강력하게 몰아치는 컨셉"은 유지하되, 원 사이클에 죽지 않아서 생기는 리스크를 어느정도 줄이는데 기여를 할 것입니다. 또한 횟수가 없으면 스킬 캔슬이 전혀되지 않았던 기존에 비해 출혈을 더욱 안정적으로 걸고 글린트가없더라도 딜로스가 일어나는것을 어느정도 해소해줄 것입니다. 베일드 컷 -버서커 출혈과 같은 종류의 특수출혈로 변경(출혈확률 100퍼센트) ->기존의 베일드 컷으로 인한 출혈은 표기상 100퍼센트였으나 사실상 출혈 레벨이 현 레이드 몹에 비해 낮고, 심지어 걸리지않는 몹이 있기때문에 특수출혈로 변경시켜 조건식 증가데미지의 단점을 어느정도 해소시켜줄 것입니다. 건 블레이드 -레인보우 킥, 레인보우 샷, 러쉬 블레이드로 세분화( 기존 건 블레이드는 세 스킬의 선행 패시브스킬로 변경, 또한 스킬의 데미지는 건 블레이드 스킬레벨에 영향을 받게 변경,기존 SP소모량 유지) -건 블레이드 공격력 상향 -공격,이동속도 소폭상승옵션 추가.(사냥만적용) 레인보우 킥(1레벨 마스터, SP소모량 0, 패시브) -스킬을 배우지않으면 사용할 수 없도록 변경, 스킬을 배우지않을경우 소닉스파이크의 발동 커맨드는 탑스핀 중z로 고정 -쿨타임을 위기의 랜드러너처럼 알리미로 설정가능하게 변경(결투장도 적용) 레인보우 샷(1레벨 마스터,SP소모량 0, 패시브) -스킬을 배우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도록 변경 -쿨타임을 위기의 랜드러너처럼 알리미로 설정가능하게 변경(결투장도 적용) -사냥에서 발사 시 공중에 떠오르는 높이를 결투장정도로 하향 러쉬 블레이드(1레벨 마스터, SP소모량 0, 패시브) -스킬을 배우지않으면 사용할 수 없도록 변경 -쿨타임을 위기의 랜드러너처럼 알리미로 설정가능하게 변경(결투장도 적용) ->로제는 초반 육성이 다른캐릭터에비해서 어려운편이며 체인 글린트를 배우지않았거나 체인 글린트의 스택이 떨어졌을 경우 스킬이 적고 기존 건블레이드의 공격력이 낮거나 "러쉬 블레이드"를 제외한다면 편의성이 좋지는 않은 편이기에 "기본기가 부실한편"이라고 사료됩니다. 따라서 체인 글린트의 스택이 부족할경우 베일드 컷+건블레이드를 활용하여 다음 스킬 쿨타임, 글린트 스택회복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으려고합니다. 또한 결투장 유저들의 편의성을 위하여 건블레이드 스킬의 쿨타임 표시 등에 대한 개선도 이루어져야한다고 봅니다. 권총의 춤 -공격력 소폭 상향 체인 파우더 -On/Off기능 추가 (더블건호크의 흡입기능) -쿨타임 20퍼센트 감소(단리적용) -파우더 건호크 사용시 건호크 칼날에 출혈효과 추가 ->보통 원 딜러 체제에서는 파우더 건호크의 빨아들이는 기능에서 단점을 찾아보기 힘들지만 타점을 맞추고 서로 합을 맞춰야하는 투 딜러 체제 또는 서포터의 입장에서는 흡입기능에서 단점이 여러모로 레이드에서 부각되고있는 실정입니다. 또한 설정상으로 파우더를 켰을경우 건호크에 칼날이 달리는 데, 이 칼날이 출혈효과를 일으키지않는 것에 대해 의문스러우며 건호크에 출혈효과를 달아줌으로써 쏘우블레이드 조건에대한 개선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탑스핀 -2회 회전을 3회 회전으로 롤백 멀티 헤드샷 -발사 후 딜레이 감소(결투장 적용) 킬 포인트 -크리티컬 증가데미지 옵션의 지속이 체인이 완전히 사라질 때 까지로 변경 ->현재 킬 포인트의 홀딩 후 같은 키를 누르면 나가는 막타의 크리티컬 증가 데미지가 적용 되지 않고있는 실정 입니다. -- 딜상향 위주보다는 기존 몰아치는 컨셉을 유지하며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안을 써 보았습니다. [명사]
개선과 상향은 비슷한 맥락이기에 개선안에서 상향이라는 어휘를 뺀다는 것은 구색만 갖춘 개선안 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무턱대고 증뎀수치만 바꾸는 것이 아닌 구조적으로 개선을 받는 것이 장기적으로도 좋을 것이라 예상합니다. |


7

740,330
프로필 숨기기
신고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