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너(남) 통합
네오주음 |
날짜 : 2017-08-12 15:43 | 조회 : 476 / 추천 : 0 |
|---|---|---|
[메카닉] 퓨어딜러에 대한 견해차와 진골 퓨어딜러 메카닉.퓨어딜러의 기준? 혹자는 파티 시너지(방깍, 스탯증가, 스증뎀 증가)가 존재하면 시너지딜러다. 라고 말씀하는데 소울, 암제, 염제등의 대표적 시너지 딜러말고 애매한 애들이 있습니다. 프레이야, 런처, 인파이터 등등은 각각 방깍 윌드, 크저깍 등의 시너지를 가지고있었는데 이들도 시너지 딜러로 나누어야 할까요? 만약 이들도 시너지 딜러로서 정의한다면, 퓨어딜러는 어떤직업이 되어야 맞을까요? 직업마다 많은 시너지 스킬과 딜링에 특화된 스킬이 존재합니다만 저는 퓨어딜러에 대해서 다르게 정의하고 싶습니다.
1. 파티 시너지가 존재하는가? 위의 예와 같이 프레이야같이 대표적인 딜바보라 하여도 파티원의 딜상승이나 몹의 방어력 저하등을 유발한다면 시너지 딜러로 분류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말그대로 시너지를 일으키기 때문이죠.
2. 홀딩 스킬이 존재하는가?
다른 대다수의 직업군은 이해하기 힘들수도 있지만 확정적인 슈퍼홀딩 스킬이 하나 있는것과 없는것의 차이는 매우 큽니다. 로제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딱히 시너지가 없는걸로 알고 있는데 킬포인트라는 훌륭한 슈퍼홀딩 기술이 존재한다면 홀딩으로 파티에 기여가 가능하지 않습니까? 만약 루크를 공대원을 모집할때, 두 직업군이 지원을 했고, 딜링량이 동일하다고 가정할때 확정 홀딩이 가능한 직업과 불가능한 직업중 어느 직업군을 우선순위로 뽑을것인지. 안톤을 트라이할때도 마찬가지로 어느 딜러가 더욱 편하게 빌드를 짤수 있을지 생각해본다면 슈퍼홀딩 기술이 존재하는 딜러가 없는 딜러보단 우월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따라서 슈퍼홀딩 기술이 존재하는 딜러보다는 없는 딜러의 딜량이 더욱 우수해야 형평성에 맞다고 보여지지 않을까요? 정리하자면 홀딩 스킬이 존재하는 딜러도 퓨어딜러로 볼수는 없다는게 제 주장입니다.
위의 시너지가 존재하지 않고, 홀딩스킬이 전무한 직업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남거너는 레인저, 메카만 존재하는걸로 압니다. (런처는 크저깍, 스시는 옵차지)
공격 속성이 강제되는것까지 포함하면 전무한 상황이 아닌가요?
공격속성이 강제/슈퍼홀딩스킬이 전무/파티 시너지가 전무 위 조건을 만족하는 메카닉은 진골 퓨어딜러로 분류될 수 있는데 퓨어딜러의 상향을 던페에서 이야기하고 실제 업데이트는 전직업중 최고수준의 하향이라니 이런게 통수가 아닐까 싶습니다.
말이 길어졌는데
최소한이라도 시너지가 존재하거나 슈퍼홀딩스킬이 있다면 퓨어딜러라 자칭안했으면 좋겠네요
|
||
네오주음
0
25,015
프로필 숨기기
신고
0%


네오주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