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너(남) 통합
![]() |
날짜 : 2016-06-26 11:38 | 조회 : 325 / 추천 : 2 |
---|---|---|
[메카닉] 명진이한테 도전장 내러 갑니다.-들어가기에 앞서 프라임이란 이런 캐릭터입니다. ㄴ독립 오브젝트 캐릭터 ㄴ단일 속성 캐릭터 ㄴ유틸성이 전무한 순혈 딜러 그러면 그 프라임의 어디가 문제가 있는지 살펴봅시다. -독립 오브젝트 캐릭터:독립 오브젝트는 기본적으로 캐릭터가 장착한 장비에 붙은 데미지 증가, 추가 데미지, 공격 시 발생 효과 등을 죄다 받아먹지를 못 합니다. 그나마 데미지 반사 패턴에서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지만 현 최종 던전인 안톤 레이드에 나오는 데미지 반사 패턴은 독오도 얄짤없으니 사실상 없는 장점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거기에다 다른 독립 오브젝트 캐릭터에겐 다 있는 독립 오브젝트 통제 수단이 로봇 전폭 딱 하나밖에 없고 그마저도 일부 로봇에는 적용되지도 않습니다. 그렇다고 다른 독오캐처럼 전방 소환 다음 방 극딜이 되느냐? 기본적으로 메카닉의 로봇들은 종이비행기 템페스터 정도를 제외하면 모두 지속시간이 짧고 그 중에서도 랜드러너, 카운트다운 계열 로봇은 아예 자폭하기 때문에 소모성이고 다음 방으로 넘어가지도 않아서 전방 소환 다음 방 극딜같은 건 안 됩니다. 대부분의 로봇이 소모품이니 템페스터를 제외하고는 스위칭도 불가능에 가까운데 그마저도 메카닉의 로봇은 시전 시 스탯을 따라가니 거의 쓸모가 없습니다. -단일 속성 캐릭터:독립 오브젝트라 위에서 말한 대로 장비에 붙은 데미지 증가, 추가 데미지 등을 못 받아먹는데 속성까지 화속성으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덕분에 안 그래도 좁은 템파밍의 선택지가 한층 더 좁아집니다. -순혈 딜러:프라임은 딜밖에 못 하는 딜바보입니다. 그런데 위에서 말한 대로 사기적인 옵션의 아이템 대부분을 못 써먹는지라 템을 통한 스펙 상승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소환사 카오스처럼 그 사기적인 옵션의 아이템을 못 써먹을 만큼의 무식한 기본 딜링을 장착하고 있지도 못한, 전형적인 딜밖에 못 하는데 딜도 안 되는 캐릭터입니다. 비록 이번 패치로 소환사, 카오스의 딜이 하향되었고 메카닉이 소소하게나마 상향을 받았다고는 하나 베이스부터 차이가 심하게 나서 여전히 메카닉은 소환사, 카오스의 반도 따라가기 힘든 게 현실입니다. 그럼에도 레이드 초창기에는 소환사의 환수 강화 오라와의 조합, 환수 강화 오라의 몰락 이후에는 데블스 세팅의 압도적인 가성비와 바이퍼의 기본기스럽지 않은 지속딜 능력에 이 단점들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아 구조적 개선을 거의 받지 못했습니다. 0.공통 사항 -로봇 공통 ㄴ로봇의 공격에 데미지 증가, 추가 데미지, 공격 시 발생 효과가 모두 적용되도록 수정 ㄴ로봇이 메카닉 본체의 방어력을 적용받도록 변경(기존 방어력 0) ㄴ로봇의 스탯이 실시간 적용으로 변경 ㄴ이에 따른 자동권총 레전더리, 에픽 옵션 개편 1.로봇 전폭 단일 레벨화 및 TP 삭제, ON/OFF 기능 추가 ▷로봇 전폭 ㄴ쿨타임 1초로 감소, 시전 시간 0.4초에서 0.1초로 감소 ㄴ1레벨 기준 폭발 범위 현 10레벨+TP와 동일 ㄴ폭발 시 공격력 보너스 기본 25%에 로봇 전폭 1레벨당 2.5% 증가(로봇 전폭 강화 1레벨은 로봇 전폭 1레벨로 변경) ㄴON시 바이퍼, 바이퍼 Zero, 공중 전투 메카:템페스터, 스패로우 팩토리, TX-80 디멘션 러너를 로봇 전폭으로 폭발시킬 수 있음. OFF시 공중 전투 메카:템페스터, 스패로우 팩토리, TX-80 디멘션 러너가 조준 전폭으로 지정한 위치와 가장 근접한 적을 공격 목표로 삼음. ㄴ토이 어소니스트 6세트:로봇 전폭 쿨타임 1초 감소->삭제 ㄴ딥 임베드 3세트:로봇 전폭 쿨타임 1.3초 감소->로봇 전폭 쿨타임 0.2초 감소 2.'랜드러너 AI 조정', '유닛 오프라인' 스킬 추가 ▷랜드러너 AI 조정 ㄴ(신규)패시브, 습득 시 랜드러너 계열 스킬들(Rx-78 랜드러너, 폭격 랜드러너, 레드 버스터, Ez-10 카운트어택/Ex-s 바이퍼 Zero 자폭 후 생성되는 랜드러너, TX-45 A-TEAM)이 생성 후에도 일정 시간동안 자폭을 하지 않음. 단, 전폭에는 정상적으로 반응. ▷유닛 오프라인 ㄴ(신규)액티브, 시전 시 맵 상의 모든 로봇이 공격을 하지 않으며 자폭 기능이 있는 로봇은 지속 시간이 전부 경과하면 자폭하지 않고 소멸함. 단, 전폭에는 정상적으로 반응. 재시전 시 정상적으로 공격을 함. 3.Rx-78 랜드러너, Ez-8 카운트다운 개선 ▷회심의 랜드러너 ㄴ10레벨 마스터 스킬로 변경. ㄴ회심의 랜드러너 피격 시 랜드러너 생성 기능 삭제. ㄴ회심의 랜드러너 시전 시 랜드러너 추가 생성 확률이 레벨과 무관하게 100%로 고정되며 Ez-8 카운트다운에도 적용되게 변경. ㄴ회심의 랜드러너 습득 시 Rx-78 랜드러너, Ez-8 카운트다운의 공격력이 감소함(1레벨 45%, 10레벨 0%, 이후 레벨당 공격력 5% 증가) ㄴRx-78 랜드러너, Ez-8 카운트다운 시전 시 모든 전직 스킬의 공격력이 4% 증가하는 버프가 걸림(지속 시간 5초, 최대 5중첩). ▷Rx-78 랜드러너 ㄴ메카닉으로 전직 시 쿨타임 0.5초 감소, 폭발 범위 20% 추가 증가 ㄴ건물 아머에 대한 공격력 증가 삭제. ㄴ토이 어소니스트 3세트:Rx-78 랜드러너 쿨타임 0.5초 감소->Rx-78 랜드러너 쿨타임 0.2초 감소 ㄴ토이 어소니스트 9세트:Rx-78 랜드러너 쿨타임 0.5초 감소->Rx-78 랜드러너 쿨타임 0.3초 감소 ▷Ez-8 카운트다운 ㄴ기본 쿨타임 6초로 감소, 메카닉으로 전직 시 쿨타임 1.5초 감소, 폭발 범위 20% 추가 증가 ㄴ충전 삭제, 기본적으로 최대 지연 시간만큼 설치됨. ㄴ건물 아머에 대한 공격력 증가 삭제. ㄴ토이 어소니스트 9세트:Ez-8 카운트다운 쿨타임 3초 감소->Ez-8 카운트다운 쿨타임 1.5초 감소 ▷Rx-78 랜드러너 강화, Ez-8 카운트다운 강화 ㄴ메카닉으로 전직 시 Rx-78 랜드러너 강화, Ez-8 카운트다운 강화 삭제 ㄴ(신규)자폭 로봇 강화:TP2/5레벨 마스터/Rx-78 랜드러너, Ez-8 카운트다운 공격력 10% 증가, 로봇 레벨 1 증가 4.Ex-s 바이퍼 및 데블스 커맨드 세트 수정 ▷Ex-s 바이퍼 ㄴ공격력 감소, 지속 시간 5초로 감소. ㄴ스톡형 기술로 변경, 스톡 충전 쿨타임은 5초로 쿨타임 감소의 영향을 받음, 설치 쿨타임 0.3초(쿨타임 감소의 영향을 받지 않음)로 변경, 최대 7기까지 충전 가능 ㄴ데블스 커맨드 3세트:Ex-s 바이퍼 쿨타임 20% 감소, 지속시간 3초 증가->Ex-s 바이퍼 충전 시간 20% 감소, 지속시간 1초 증가/Ex-s 바이퍼 초당 탄환 발사 수 1 증가->6세트로 이전 ㄴ데블스 커맨드 6세트:Ex-s 바이퍼 공격력 40% 증가, 쿨타임 30% 감소->Ex-s 바이퍼 공격력 10% 증가, 초당 탄환 발사 수 1 증가 ▷Ex-s 바이퍼 강화 ㄴ지속시간 증가 삭제 ㄴ1레벨당 로봇 레벨 1 증가 추가 ㄴ1레벨을 찍을 시 최대 충전 가능 개수 1기 증가 5.공중 전투 메카:템페스터 성능 상향, 조준 전폭 ON/OFF 기능 삭제 ▷공중 전투 메카:템페스터 ㄴ공격력 대폭 증가, 지속 시간 120초로 증가, 쿨타임 10초로 감소 ㄴ더 이상 템페스터가 소환된 상황에서 스킬 키를 꾹 눌러서 자폭시키지 못함 ㄴ조준 전폭 조준점과 가장 가까운 적-보스-네임드-챔피언-HP가 많은 적 순으로 공격 우선순위를 정함(로봇 전폭 ON 후 조준 전폭을 하지 않았을 시 자폭 우선 순위도 동일) ㄴ스킬 키를 다시 입력할 경우 메카닉 전방으로 소환되어 전방 가장 가까운 적에게 기관총/미사일을 난사하는 스톡형 기술 '집중 포격' 추가.(이클립스 하이브와 유사한 원리) ㄴ데블스 커맨드 6세트:사격, 미사일 연속 발사 수 50% 증가->사격, 미사일, 집중 포격 발사 수 25% 증가, 집중 포격 발사 간격 20% 감소 6.메카 드롭 상향 및 메카 드롭 TP 개선. ▷메카 드롭 ㄴ폭격 간격 감소, 낙하 속도 증가, 결과적으로 최대 전개까지 걸리는 시간 대폭 단축 ㄴ쿨타임 30초로 감소 ㄴ폭격 랜드러너가 더 이상 땅에 떨어지면 바로 폭발하지 않고 레드 버스터처럼 적을 찾아다님 ㄴ레드 버스터 등장 개체수 10개로 증가, 스틸 스매셔/힐링 레이더/마나 릴랙서 삭제, 장비에 붙은 폭격 랜드러너 수 증가 옵션이 레드 버스터 개체수에도 적용 ▷메카 드롭 강화 ㄴTP2/5레벨 마스터/메카 드롭 공격력 10% 증가, 레드 버스터 개체수 2개 증가, 폭격 랜드러너, 레드 버스터 레벨 1 증가 7.스패로우 팩토리 성능 상향, 조준 전폭 ON/OFF 기능 삭제 ▷스패로우 팩토리 ㄴ지속 시간 5초로 감소, 그에 비례해 공격력 대폭 증가 ㄴ스패로우 개수 8개로 증가, 스패로우 공격 쿨타임 0.5초로 감소, 생성 후 스패로우 최대 전개까지 걸리는 시간 대폭 감소, 스패로우의 이동 속도 및 적 인식 범위 대폭 상향 ㄴ조준 전폭 조준점과 가장 가까운 적-보스-네임드-챔피언-HP가 많은 적 순으로 공격 우선순위를 정함(로봇 전폭 ON 후 조준 전폭을 하지 않았을 시 자폭 우선 순위도 동일) ▷스패로우 팩토리 강화 ㄴ레벨당 스패로우 팩토리 레벨 1 증가 추가 8.최후의 투지 변경 ▷최후의 투지→엔지니어링 ㄴ스킬 공격력 증가가 투지 로봇 여부와 관계없이 상시 적용. ㄴ로봇 오브젝트의 레벨이 엔지니어링 레벨/2(소수점 올림)만큼 증가. 9.게이볼그 펀치 3/6/9 레벨 효과 개선 ▷게이볼그 펀치 ㄴ포탈 생성 애니메이션 속도 증가, 공격력 증가 ㄴ기존 3레벨/9레벨 효과인 게이트 위치 조정 가능/1타에 데미지 집중이 기본 효과로 옮겨감 ㄴ3레벨:캐스팅 모션 없이 포탈을 설치 가능. ㄴ6레벨:10초동안 화속성 강화 20(6레벨 이후 레벨당 +2) 증가. ㄴ9레벨:필드에 존재하는 로봇 개체 하나당 게이볼그 펀치 공격력 3% 증가.(최대 10개체까지 증가) 10.HS-1 친구들 개선 ▷HS-1 친구들 ㄴ습득 시 메카 드롭도 자동 시전으로 변경 ㄴ로봇 설치가 간헐적으로 무시되는 버그, 메카닉 본인의 캐스팅 속도를 따라가지 않는 버그 및 Ex-s 바이퍼의 설치 위치가 들쭉날쭉한 현상 수정. 11.Ez-10 카운트어택, Ex-s 바이퍼 Zero, TX-80 디멘션 러너, TX-45 A-TEAM 개선 ▷Ez-10 카운트어택 ㄴ쿨타임 25초로 감소 ㄴ충전 삭제, 기본적으로 최대 지연 시간만큼 설치. ㄴ본체 공격력 증가, 폭발 후 나오는 랜드러너의 공격력 및 폭발 범위 증가. ▷Ex-s 바이퍼 Zero ㄴ스톡형 기술로 변경, 스톡 충전 쿨타임은 40초로 쿨타임 감소의 영향을 받음, 설치 쿨타임 0.3초(쿨타임 감소의 영향을 받지 않음)로 변경, 최대 2기까지 충전 가능 ㄴ폭발 후 나오는 랜드러너가 더 이상 땅에 떨어지면 바로 폭발하지 않고 일반 랜드러너처럼 적을 찾아다님. ㄴ러스트 블리스터 토이 6세트:Ex-s 바이퍼 Zero 쿨타임 20% 감소->Ex-s 바이퍼 Zero 충전 시간 20% 감소 ▷TX-80 디멘션 러너 ㄴ지속시간 120초로 증가, 쿨타임 10초로 감소, 최대 개체수 1, 방을 넘어가도록 변경 ㄴ더 이상 기본적으로 로봇 전폭에 영향을 받지 않음 ㄴ총탄 공격이 광범위 공격에서 단일 대상 공격으로 변경 및 총탄 공격력 대폭 증가 ㄴ조준 전폭 조준점과 가장 가까운 적-보스-네임드-챔피언-HP가 많은 적 순으로 공격 우선순위를 정함(로봇 전폭 ON 후 조준 전폭을 하지 않았을 시 자폭 우선 순위도 동일) ㄴ디멘션 러너가 설치되어 있을 때 스킬 키를 꾹 누르면 조준점이 나타나며 스킬 키를 떼면 해당 지점에 순간이동하여 광범위한 범위에 적을 끌어당기는 기능을 가진 전자기장 공격을 하는 스톡형 기술 '자기력 방출' 추가.(이클립스 하이브와 유사한 원리) ▷TX-45 A-TEAM ㄴ공격력 및 폭발 범위 증가 ㄴ헬 마치, 게이볼그 펀치, TX-80 디멘션 러너, 템페스터, 스패로우 팩토리의 공격력이 증가하는 기본 효과 추가. ㄴ헬 마치, 게이볼그 펀치 시전 시 쿨타임 초기화 ㄴ스패로우 팩토리 시전 시 남은 쿨타임 50% 감소 ㄴTX-80 디멘션 러너의 자기력 방출, 템페스터의 집중 포격 시전 시 남은 쿨타임 5% 감소 12.카모플라쥬 개선 ▷카모플라쥬 ㄴ1레벨 마스터 스킬로 변경 ㄴ지속 시간 120초, 쿨타임 10초로 변경 ㄴ적용 방식이 오라 형태로 변경, 적용 대상이 범위 내에 존재하는 모든 아군 및 아군 오브젝트(메카닉 자신의 로봇 포함)로 변경 ㄴ카모플라쥬 유지 상태와 관계 없이 메카닉 자신과 아군 오브젝트에게 들어오는 피해량을 30%(1레벨당 3% 추가), 아군에게 들어오는 피해량을 10%(1레벨당 1% 추가) 감소 ㄴ재시전 시 해제 가능 13.헬 마치 개선 ▷헬 마치 ㄴ공격력 증가 ㄴ로봇들이 더 이상 차원문을 통해 행진해서 나오지 않고 프로토스의 차원 관문과 비슷한 프로세스로 바로 전송되어 폭발할 자리에 배치됨, 결과적으로 최대 전개까지 걸리는 시간 대폭 단축. ㄴ타격 판정 개선으로 몬스터의 위치 및 크기와 무관하게 폭발 시 입히는 다단히트 횟수가 일정해짐. 각 개선안의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0.이는 비단 메카닉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같은 독립 오브젝트 캐릭터인 소환사, 카오스에게도 중요한 사항입니다. 소환사, 카오스의 기본 베이스가 막강하기는 하나 메카닉과 동일하게 고투자 시에도 눈에 띄게 강해지기는 힘들다는 딜레마를 안고 있습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아이템 파밍의 폭이 한정되어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또한 메카닉의 로봇은 현재 시전 시 스탯을 따라가는데 이 경우 크루세이더의 아포칼립스나 소울브링어의 카잔과 같은 장판형 버프를 다른 독립 오브젝트 캐릭터에 비해 잘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1.지나치게 로봇 전폭에만 몰린 화력 비중을 낮춤과 동시에 로봇 전폭 운용에 편의성을 더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2.현재 메카닉의 유일한 로봇 통제 수단은 로봇 전폭뿐인데 이마저도 바이퍼 등 일부 로봇에게는 무용지물입니다. 이는 메카닉이 딜러로서 유연한 상황 대처가 불가능하게 만드는 원인입니다. 3.랜드러너, 카운트다운은 크로니클 장비 없이는 써먹기 애매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저레벨 메카닉의 육성을 힘들게 하는 요인입니다. 물론 기본기인만큼 후반에도 주력기의 위치를 차지하는 건 곤란하겠지만 로봇 전폭의 데미지 증가율 감소, 제 역할을 못 하던 무큐기들의 개선으로도 랜드러너, 카운트다운이 기본기라는 본연의 역할에서 벗어날 일은 없다고 봅니다. 4.랜드러너, 카운트다운과는 달리 크로니클 장비 없이도 강하지만 크로니클 장비의 효율이 지나치게 높아 메카닉이 소위 '날먹캐'라는 인식을 만들어낸 주범입니다. 기본기 이상의 위상을 가지지 못하게 조정하되, 바이퍼의 약점이던 순간 화력 집중력을 어느 정도 개선할 필요성은 있다고 봅니다. 5.템페스터의 개선 방향이 오래 지속되는 지속 딜링형 메카로 가는 것 같은데 그 성격을 좀 더 강화하면 어떨까 합니다. 6.분명 메카닉의 주력 무큐기이지만 쿨타임이 긴데다 화력 집중도가 매우 떨어집니다. 7.지속딜, 순간딜 어디에도 발을 걸치지 못하는 스패로우 팩토리의 순딜 능력 강화로 각성 전 최종스킬다운 위력을 보장받았으면 합니다. 8.안톤 레이드의 몬스터 레벨은 115인데 메카닉은 로봇 레벨을 올릴 수단이 레벨링 외엔 없어서 안톤 레이드에서 레벨 차이로 인한 손해를 봅니다. 9.평균 이하의 1각기인 게이볼그 펀치의 딜링 능력 강화. 10.지금도 충분히 좋은 패시브지만 버그 정도는 수정될만하다고 봅니다. 11.탈크로니클의 핵심은 각성 후 스킬들인데 메카닉의 각성 후 스킬들은 전체적으로 평균 미만의 처참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12.있다고 물몸인 메카닉이 안 죽지는 않겠지만 그렇다고 다른 천캐들(마퇴 빼고) 다 있는 제대로 된 방어스킬이 없을 이유는 없지 않겠습니까. 13.저질스러운 헬 마치의 전개 시간 완화 및 들쭉날쭉한 화력 개선. 여기에 살 좀 붙여주실분? |


7,405

1,168,624
프로필 숨기기
신고
111
10%

정의는 실현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