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검사(남) 통합
직이도깨비 |
날짜 : 2014-04-16 14:09 | 조회 : 361 / 추천 : 3 |
|---|---|---|
[버서커] 버서커에 대해서 그냘 싸질러 봄
버서커는 기본적으로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방식으로 구성이 되어 있슴다
그 단적인 예시가 바로 폭주이죠. 아무리 기본이 중갑에 물공 캐릭이지만 물리방어력은 대폭 깍아내리고 지능까지 깍아먹어버리는 엄청난 감소치가 달려있죠 대신 힘을 높게 올려주고 또한 공이속도 올려줍니다. 이게 리스크에 대한 리턴이죠. 덤으로 지속시간도 쿨탐보다 짧기도 하죠. 다른것도 마찬가지입니다. 혈십자도 간뜩이나 물방이 깍히는데 거기에 피통을 낮게 유지해야 한다라니! 대신 버프는 푸짐합니다 힘에 공이속에 회피율까지. 덤으로 네오플의 생각한 버서커의 딜링 모습은 폭주와 혈십자를 유지하면서 사냥을 하다가 중요순산레 익오킬 버프를 켜서 높은 공이속으로 몰아치다가 내려찍고 하는 모습을 구상했을겁니다. 여튼 이러한 버서커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버서커는 방어적인 부분이 약합니다. 그래서 뇌없플은 스킬의 생존안정성을 엄청나게 높게 부여해줍니디. 먼저 저때문에 논란이 생긴 짧은 후딜. 내용은 저번에 설명햇으니 되고 짧은 후딜로 인해 상대적으로 다른캐릭에 비해 사용후의 상황에 대해서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합니디. 그리고 다음은 스킬자체에 무적을 달아줫습니다 붕산은 점프하거 내려오면서 슈아에 찍으면 무적 아웃뷁도 찍으면 무적 이건 짧은 후딜과 함께 스킬 시전후에 안전한 자리이탈이나 다음 스킬의 공격을 가능케 합니다. 그리고 버서커는 슈아몹에도 대처가 쉽슴다. 기본잡기인 열파참에 블러드 러스트 블러드 루인등 슈아몹도 부담이 적음요. 대신 스킿들이 선딜이 미친듯이 깁니다. 즉 스킬도 선딜이 길다는 리스크와 후딜이 짧다는 리턴이 돌어오는거죠. 이걸 종합하면 네오플이 생각한 버서커는 버프를 걸고 적진으로 스킬을 써서 돌격후에 공이속 버프를 통하여 빠르기 딜링 후 탈출, 그리고 재진입을 생각한걸 알 수 있슴다. 그럼 현재 버서커의 문제점은 뭐냐 첫째 많은 리스크를 안고있는 폭주가 뛰어나지 않다는 점임다. 다른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식인 오기조원이나 이제는 리스크가 없어진 강권을 생각해보면 폭주의 수치는 리스크 만큼의 증가량은 아닙니디. 또한 무지막지한 선딜로 인해 빠른딜링이 주가된 현재의 던파상황에서 타직엄에 비해 짦은 시간의 딜링은 따라갈수가 없습니다. 게다가 스킬은 시전햇는데 무적패턴이나 회피 패턴이라도 발동하면;; 게다가 지속딜 측면애서도 폭주가 꺼지는 순간 엄청난 딜로스를 맞이하기 때문에 지속딜 측면에서도 타캐릭을 따라갈수가 없음 결론은 뭐냐 버서커는 제대로 딜링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리스크와 조건을 맞추어야 하는데 그렇게 조건을 맞추고 리스크를 떠안아도 남들보다 딜링 능력이 떨어지는 최악의 하이리스크 노리턴의 캐릭이 됨 이걸 해결하기 위해서는 차라히 하이리스크 하이리천에 맞게 스킬딜량을 대폭 늘리거나 버프 수치를 대폭강화 하던가 아예 폭주를 타 버프처럼 무한지속등으로 하여 수치를 소폭 수정하고 선딜문제를 줄여 리스크를 줄이고 더 딜링 상황을 편허게 하는 로우리스크 로우 리턴으로 바꾸어야 함돠. 폰이라 더이상 길게 못적겟음 |
||
직이도깨비
184
512,666
프로필 숨기기
신고
93
26%


직이도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