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검사(남) 통합
![]() |
날짜 : 2017-10-15 00:59 | 조회 : 3024 / 추천 : 6 |
---|---|---|
[버서커] 칼박거르기 보충설명
칼박거르기에 대해 제가 이의를 제기한 바도 있고
어느정도 완전히 틀렸다 치부한 과오를 저지른 바가 있기에 그에 대해 사죄하는 의미로 제로스님의 칼박거르기가 단순 독립시행이 아닌 "통계적으로" 볼때 왜 확률이 높아질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에 보충설명 드리겠습니다. *단, 이 글은 단순 독립시행이 왜 아니냐에 대한 보충설명입니다. 제가 고등학생인 관계로 제로스님과 지식편차가 크고, 시뮬레이션 등 프로그램등을 이용할 수 없어 전체적으로 볼때 증폭에서 이득을 볼지는 이해를 못해 설명하지 아니하였습니다. 일단 저를 비롯한 일반인이라면 배웠던 고등학생 과정 -확률과 통계만 충실히 이행했다면 제가 설명하는 바는 이해하실수 있으실겁니다. 정규분포 그래프는 종모양으로서, 양쪽대칭이고 그 의미는 중앙에 가장 많이 분포할 확률이 크며 좌우로 갈수록 분포할 확률이 적다는 뜻입니다 가령 20퍼 비율의 확률의 시행에서 10번 시행할때 그 시행은 2번 일어날 확률 가장 크며 종모양의 가장 중앙이자 높은곳에 분포한다는 뜻은 비율 0.2를 가진다는 뜻입니다. 이걸 강화/증폭에 적용시켜보겠습니다. 조건은 10회 성공확률은 30퍼, 정규분포를 따릅니다. 단, 1,이득을 보는경우(p이상)/2, p / 3,손해p 이하 모든 경우가 가능합니다. 말하고자 하는바는 거르기가 무조건 이득은 아닙니다. 독립시행만 따르지 않는이유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1- 칼박 거르기9회로 실패 9회를 가정한다 합시다. 그럼 다음시행은 "통계적으로" 성공할 확률이 클까요? 실패할 확률이 클까요? 다르게 생각해보겠습니다. 실패 열번할 확률이 정규분포 중앙에 가까울까요? 실패 9 성공1 확률이 정규분포의 중앙에 가까울까요? 당연 후자죠. 이렇게 확률적 이득을 볼수 있다는겁니다. 2- 당연히 가장큰 확률로 10회중 3번 성공일테구요. 3- 1과 마찬가지로 생각하되 거르기9회중 4번이상성공하여 거르기가 아닌 강화시도에서는 원래p보다 실패할 확률이 더 크다는겁니다. 사실 많은분들이 궁금해하던부분이 왜 그저 독립시행이 아닐까? 인가 싶어서 올립니다. 덤으로 제글로 인해 험한말 듣게된점도 사죄드립니다ㅜㅜ from Mobile
|


1

8,049
프로필 숨기기
신고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