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적 통합
![]() |
날짜 : 2016-06-27 12:33 | 조회 : 353 / 추천 : 3 |
---|---|---|
[섀도우댄서] 던파 케릭터 벨런스 문의 사항 정리이렇게 작성해서 케릭터 밸런스 건의사항에 올렸습니다. 일기더럽겠지만 관심있으신분은 읽고 문제지적부탁드려요. (혹시나 건의사항에 복붙해서 올리기없기입니다. 저라도 복붙내용은 무시하고 거를꺼같아요ㅋ) 1. 버그 문의 가) 죽음의연무 - 상황 : 적에게 타격을 줄시 잡기판정이 발동되는 스킬. 정확하지는 않으나 타격시 서버 불안정 이나 렉으로 인하여 잡기판정이 발동되지 않는것으로 보임. - 해결책 : 조삼모사일수 있으나 타격형태가 아닌 잡기형태(나락떨구기)로 변경. 기존 타격대미지는 잡힌적에 게 주는공격력에 포함 나) 체인리액션 - 상황 : 세인트(크루세이더,홀리오더 포함)의 참회의 망치의 참회옵을 적용받고있는 몬스터에게 체인이 적중 시 추가 기능이 작동하지 않음.(같은 편으로 판단하는것으로 보임) - 해결책 : 공격 판정이 어떤형태인지 알수없으나...참회의 망치에 타격된적을 다른 개체로 잘못인식하지 않도 록 해야할것임. 직원분들께서도 해당문제에대하여 어느정도 인식하고있을것이라 생각됨 다) 베일드 어택?! - 상황 : 섀도우컷 사용후 배후에서 즉시암살시전시(은장도 착용중이었기때문에 단축키가아닌 커멘드로사용) 베일드 어택의 스택이 올라가지 않음. - 해결책 : 베일드 어택의 스택쌓는 충족 조건이 단순 "백어텍시"가 아니거나 현재 몬스터의 홀딩, 슈퍼홀딩상 태나 스킬사용(섀도우컷)으로인한 케릭터의 장소변경등 에서 백어택으로 인식하지 않는경우가 있는것은 아 닌지 확인이 필요함. 라) 암살 - 상황 : 백어텍으로 암살시전시 4등분되는과정에서 다른케릭터의 홀딩 공격이 무시가되는 현상. - 해결책 : a)홀딩으로서 파티플레이에 도움을 주라는 의도로 판단되나 이러한 홀딩 중복문제로인하여 조합이 다른케릭터와 조합에 불편한 케릭터로 지정되어있는 상태. b)몬스터에게 홀딩최대 중첩수가 존재하는것인지 확인이 필요함. 최대치가 존재한다면 제거해야하 는게 맞다고 생각됨 c)암살의 홀딩방식이 다른 홀딩방식과 무엇이 다른것인지 확인이 필요함. 다른 슈퍼홀딩 공격과 동 일한 방식으로 변경이 필요함.(4등분 이팩트를 제거해서라도) d)홀딩이 몬스터에게 여러번 중첩되어도 가장 늦게 끝나는 홀딩시간을 따라야함.(암살에 적중당한 적에게 검신의 1차각성기 시전시 홀딩되지 않음.추가적으로 확실하지 않으나 검신 1차각성에 걸린 몬스터가 다른 짧은 홀딩기에의해 홀딩이 해제되는경우가 있음) 2. 개편 필요성 문의 가) 직업별 특성 : 모든케릭터를 공격력만으로 비교해서는 안됨. 현재 생각나는 비교 대상은 아래와 같음 a) 스킬당 공격력 b) 스킬별 쿨타임 c) 개인 패시브 및 버프에 따른 자신이 최대 낼수있는 공격력 d) 개인 이외의 패시브 및 버프에대한 시너지로 파티에서 최대 낼수있는 공격력 e) 홀딩 능력 f) 시간 대비 공격력(DPS) - 스킬이 설치형인지 스킬켄슬후 다른스킬이 사용가능한지 - 레이드기준 10초동안 최대 넣을수 있는 공격력 g) 스킬사용에 따르는 리스크 또는 컨트롤 난이도(섀도우댄서의 백어택, 버서커의 혈십자, 폭주, 베일드 어택, 어벤져의 1차각성, 베틀메이지의 1,2차각성 등) i) 스킬이 단타기인가 다단히트기술인가(패턴을 무시하고 클리어가 가능한가) 등등 이밖에도 많은 것들을 자료를 수집해서 케릭터 벨런스를 조절할것이라 생각합니다. 섀도우 댄서는 홀딩 능력, 비교적 적당한 스킬 퍼센트 공격력(이는 정확하 확실히 서지 않습니다. 적혀있는 퍼센트 공격력은 분명 상위권이라 할만하나 버프, 패시브 최종아이템에대한 시너지 등을고려하고, 던파조선 케릭터 게시판의 데미지 표를 확인하면 섀도우 댄서가 적혀있는 퍼센트 공격력만큼 그렇게 강력한 케릭이 아니라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강력한 단타공격을 가진케릭터입니다. 적당한 공격력과, 딜러로서 꾀나 좋은 홀딩능력을 보유한 케릭터입니다. 하지만 던파에서 지속적으로 벨런스 업데이트를 진행하면서 말하는 명분인 "액션성"을 즐기기에는 섀도우 댄서의 "백어택"이라는 리스크가 너무 크지 않나 싶습니다. 암살을 예로들어보겠습니다. 정면 공격력이 100인경우 배후공격력은 200입니다. 거기에 1차각성패시브를 추가하면 약 260이 되겠죠. 이유없이 홀딩된적이 고개를 돌리거나, 백어택 판정이 들어가지 않거나, 같이간 파티원이 백어텍을 불가능하게하거나(그래플러가 적을 잡고 마구 굴리거나, 적의 앞위가 안보이게 하는스킬들)하면 매우큰 스트레스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네오플에서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라고 주장하는 버서커조차 계속 리스크를 계속 줄여주고있습니다. 하지만 이버서커조차 최대 리스크상태와 일반상태에서 사용하는 공격력차이가 이렇게 2.6배에 해당할 정도로 엄청나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이런 엄청난 리스크를 가지고도 전부 최대 리스크로 넣을경우에 다른 딜러들과 유사한 공격력을 넣고있죠.(이는 기존 버서커에서도 많이 나왔던 문제입니다. 높은 리스크에비해 이보다 강력한 케릭터가 너무많다는...) 결론 : 공격력 증가를 원하지 않습니다. 다만 많은 버그수정과 백어택의 의존성 을 개편해 주셨으면 합니다. 예시) - 패시브를 추가하여 특정스킬들은 강제 백어택형태로 공격 - 정면 배우 공격력은 같고 배후사용시엔 홀딩능력을 유지한다거나 - 그림자이동의 쿨타임감소 - 그림자이동의 스택화 |


25

156,796
프로필 숨기기
신고
45
35%